[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대법원이 공직선거법의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여부에 대해 공직선거법은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달리 정한 바가 없으므로,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 또는 지방재정법 제82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지난 5월 18일,판결했다.
대법원은 공직선거법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은 5년이라고 판시했다.
판결요지를 보면 공직선거법 제263조부터 제265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당선이 무효로 된 사람(기소 후 확정판결 전에 사직한 사람을 포함한다)과 당선되지 아니한 사람으로서 제263조부터 제265조까지에 규정된 자신 또는 선거사무장 등의 죄로 당선무효에 해당하는 형이 확정된 사람은 제57조에 따라 반환된 기탁금 및 제122조의2에 따라 보전받은 선거비용을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반환하여야 하고(제265조의2 제1항, 제2항),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납부기한까지 위 기탁금 또는 선거비용이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 당해 후보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장에게 징수를 위탁해 관할세무서장이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이를 징수하며(제265조의2 제3항)한다.
대법원은 위 규정에 따라 납부 또는 징수된 금액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된다(제265조의2 제4항). 그런데 공직선거법은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달리 정한 바가 없으므로,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 또는 지방재정법 제82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대법원 판결] 공직선거법의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 '5년 소멸시효' 적용
기사입력:2023-07-19 15:38: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5.17 | ▼7.12 |
코스닥 | 819.29 | ▲1.02 |
코스피200 | 431.02 | ▼0.6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920,000 | ▲1,560,000 |
비트코인캐시 | 699,000 | ▲17,500 |
이더리움 | 4,876,000 | ▲15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10 | ▲850 |
리플 | 4,955 | ▲216 |
퀀텀 | 3,275 | ▲7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889,000 | ▲1,503,000 |
이더리움 | 4,870,000 | ▲15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260 | ▲850 |
메탈 | 1,122 | ▲16 |
리스크 | 636 | ▲6 |
리플 | 4,955 | ▲227 |
에이다 | 1,173 | ▲52 |
스팀 | 206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880,000 | ▲1,610,000 |
비트코인캐시 | 699,000 | ▲16,000 |
이더리움 | 4,868,000 | ▲14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270 | ▲850 |
리플 | 4,955 | ▲219 |
퀀텀 | 3,263 | ▲50 |
이오타 | 343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