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판결] 공직선거법의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 '5년 소멸시효' 적용

기사입력:2023-07-19 15:38:20
대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대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대법원이 공직선거법의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여부에 대해 공직선거법은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달리 정한 바가 없으므로,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 또는 지방재정법 제82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지난 5월 18일,판결했다.

대법원은 공직선거법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은 5년이라고 판시했다.

판결요지를 보면 공직선거법 제263조부터 제265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당선이 무효로 된 사람(기소 후 확정판결 전에 사직한 사람을 포함한다)과 당선되지 아니한 사람으로서 제263조부터 제265조까지에 규정된 자신 또는 선거사무장 등의 죄로 당선무효에 해당하는 형이 확정된 사람은 제57조에 따라 반환된 기탁금 및 제122조의2에 따라 보전받은 선거비용을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에 반환하여야 하고(제265조의2 제1항, 제2항),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는 납부기한까지 위 기탁금 또는 선거비용이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 당해 후보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장에게 징수를 위탁해 관할세무서장이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이를 징수하며(제265조의2 제3항)한다.

대법원은 위 규정에 따라 납부 또는 징수된 금액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된다(제265조의2 제4항). 그런데 공직선거법은 제265조의2에서 정한 기탁금 및 선거비용에 대한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달리 정한 바가 없으므로, 국가재정법 제96조 제1항 또는 지방재정법 제82조 제1항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02.73 ▲42.68
코스닥 830.76 ▲5.94
코스피200 448.25 ▲6.9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2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806,500 ▲1,000
이더리움 5,99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8,490 ▼60
리플 4,095 ▼6
퀀텀 3,615 ▼3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70,000 ▼253,000
이더리움 5,99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8,520 ▼90
메탈 987 ▼9
리스크 520 ▼2
리플 4,097 ▼7
에이다 1,202 ▼3
스팀 18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5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807,500 ▲2,500
이더리움 6,00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8,470 ▼60
리플 4,097 ▼4
퀀텀 3,635 ▼24
이오타 26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