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고물가로 점심값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편의점이 알뜰 쇼핑족들의 가성비 맛집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외식 물가 상승률이 7.7%를 기록한 지난해 이마트24의 도시락 상품 매출은 전년(2021년) 대비 28% 증가했으며, 올해 1월부터 2월 23일(목)까지의 도시락 매출 역시 지난해 대비 25%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마트24 관계자는 "올해 같은 기간 도시락 매출 현황을 상권별로 보면 전년 동기간 대비 오피스 상권 매출(47%)이 가장 많이 늘었으며 학원가(29%)와 독신주택가(20%) 또한 상승폭이 컸다"라고 전했다.
이어 "같은 기간 이마트24가 시간대별 매출을 살펴본 결과 11시부터 13시까지 매출 비중이 22.4%로 하루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라며 "지난해 동 기간과 비교하면 같은 시간대(11시~13시) 매출 비중인 19.7%보다 2.7%p 높아졌다"라고 말했다.
이는 고물가로 점심값 부담을 느낀 직장인을 비롯해 외식비를 아끼고 싶은 학생들이 근거리 쇼핑 채널인 편의점을 많이 찾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수요에 발맞춰 이마트24는 고물가에 외식 대신 편의점 도시락으로 식사를 해결하려는 편도족을 잡기 위해 가성비를 앞세운 알뜰 도시락 상품군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이마트24가 이달 27일(월)부터 6찬으로 구성된 정찬 도시락을 3,900원에 선보인다.
우선 전국 이마트24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는 ‘39도시락’은 쏘야볶음, 감자채볶음, 마늘쫑볶음으로 맛깔스러운 식감을 살리고 미니돈까스, 해물완자, 야채고로케, 볶음김치를 더해 극강의 가성비로 풍부한 맛을 원하는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킨다.
이마트24는 각 제조공장에서 인기 도시락에 포함되는 반찬들을 1~2종씩 선별해 대량 제조한 다음 해당 반찬들로 39도시락 내 6찬을 구성함으로써 단가를 낮추는 등 초저가 전략을 통해 39도시락을 판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39도시락과 함께 선보이는 ‘42도시락’ 역시 4200원에 정찬을 즐길 수 있도록 출시됨에 따라 이마트24의 대표적인 가성비 도시락으로 고객들의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쉐킷밥 떡갈비&김치볶음/계란버터장조림’은 흔들어서 섞어 먹는 컵밥 콘셉트의 미니덮밥으로, 해당 상품 또한 3천원이라는 알뜰한 가격에 판매한다.
김홍근 이마트24 도시락MD는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근거리 쇼핑 채널인 편의점에서 고객들이 알뜰하게 맛있는 한 끼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가성비 라인의 도시락 상품군을 확대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가격 경쟁력은 물론 맛과 품질에 공들인 상품을 발 빠르게 도입해 이마트24가 알뜰족들에게 미식 체험을 선사하는 명소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랑의열매, 튀르키예 지진피해 특별모금 3월 31일까지 연장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김병준)가 진행하고 있는 튀르키예·시리아 지진피해 구호를 위한 특별모금이 150억 원 지원을 목표로 3월 31일까지 1개월 연장된다.
지난 6일 튀르키예와 시리아는 규모 7.8의 대지진과 계속되는 여진으로 사망자가 4만 8천여 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고 부상자와 이재민이 늘고 있다.
지진 피해가 심화되자 사랑의열매는 지속적인 구호활동과 피해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특별모금 기간을 3월 31일까지 1개월 연장하고, 모금목표액을 150억 원으로 증액했다.
◆서울시, 자치구와 '탄소중립 원팀' 구성
서울시가 25개 자치구와 저탄소 건물 전환, 전기차 보급 확대, 그린인프라 확충 등 기후위기 정책 추진에 힘을 모은다.
서울시는 27일 오전 시청에서 25개 자치구, 시의회, 시·자치구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50 탄소중립 원팀서울' 출정식을 연다.
행사는 탄소중립을 위한 시·구 공동결의, 자치구별 실천다짐 선언, 김상협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의 기조강연, 자치구 우수사례 발표순으로 진행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이마트24 도시락 매출 전년 대비 28% 증가 外
기사입력:2023-02-27 07:52:4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86.19 | ▲17.54 |
코스닥 | 872.21 | ▼2.15 |
코스피200 | 481.54 | ▲3.2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318,000 | ▼332,000 |
비트코인캐시 | 793,500 | ▲1,500 |
이더리움 | 5,944,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50 | ▲130 |
리플 | 4,078 | ▲16 |
퀀텀 | 3,10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440,000 | ▼385,000 |
이더리움 | 5,945,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00 | ▲130 |
메탈 | 934 | 0 |
리스크 | 457 | 0 |
리플 | 4,077 | ▲14 |
에이다 | 1,159 | ▼3 |
스팀 | 17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380,000 | ▼250,000 |
비트코인캐시 | 790,500 | ▼1,500 |
이더리움 | 5,945,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40 | ▲110 |
리플 | 4,080 | ▲17 |
퀀텀 | 3,085 | ▼46 |
이오타 | 24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