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허닭, 여름휴가철 맞아 2분기 판매량 22% 상승
캐주얼 간편식 기업 허닭이 단백질 선호 트렌드와 여름 휴가철을 맞아 2분기 판매량이 직전 분기 대비 22.3%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헬시플레저’로 대표되는 지속 가능한 건강 관리 트렌드 확산과 여름휴가 성수기가 다가오며 단백질 식품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특히, 20세 이상 성인남녀가 건강과 관련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체중 관리’이며, 체중 관리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양소는 ‘단백질’로 나타나** 식단 관리를 위한 단백질 수요는 지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허닭은 2분기 930만 개 판매량을 기록하며 1분기 760만 개 대비 22% 이상 늘었다. 본격적인 여름휴가철이 다가오며 허닭과 허닭식단은 닭가슴살 제품을 포함해 닭가슴살을 활용한 스테이크, 소시지 등 전 제품이 2분기 들어 꾸준히 증가해 2분기 판매량 상승을 이끌었다.
이와 같은 상승세는 운동과 식단 조절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일상이 되며, 단백질을 포함한 식단과 식품의 섭취가 활발해진 덕분으로 예상된다.
자체 브랜드인 허닭과 허닭식단으로 소비자를 만나고 있는 허닭은 일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단백질을 즐길 수 있는 캐주얼 간편식을 활발하게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도 단백질이 풍부한 닭가슴살을 활용해 식단 관리부터 가벼운 간식까지 소비자 취향에 맞춘 제품을 출시했다.
국내 최초의 보드게임인 ‘부루마불’과 콜라보를 통해 아시아 4개국의 매콤한 맛을 담은 ‘허닭 소스 통 닭가슴살’, 통 닭가슴살에 바삭한 쌀가루 튀김옷을 입힌 ‘허닭식단 닭가슴살 빅 치킨텐더’는 편리하게 단백질을 챙기는 간편식 메뉴로 소비자를 만났다. 또, 과자처럼 바삭하게 즐기는 ‘허닭 크리스피 닭가슴살칩’도 출시하며 간식으로도 단백질을 채울 수 있도록 했다.
자회사 허닭프렌즈는 다양한 파트너사들이 자체 생산과 판매 부담 없이 간편식을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도록 돕는 B2B 사업을 적극 전개하며 닭가슴살을 활용한 캐주얼 간편식 신제품을 연이어 출시하고 있다.
네네치킨과 협업한 '네꼬밥 닭가슴살 곤약볶음밥'을 비롯해 오빠닭과 협업한 '시그니처 소스닭 닭가슴살', '치즈 품은 주먹밥' 등 닭가슴살을 활용해 단백질을 챙기는 다양한 캐주얼 간편식을 선보이고 있다.
허닭 관계자는 ”건강을 위한 단백질 선호와 여름 휴가 대비 체중 관리를 위해 단백질 식품을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다양한 일상 상황에서 소비자가 편리하게 단백질을 챙길 수 있는 다양한 캐주얼 간편식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전했다.
◆코앞으로 다가온 여름휴가, 다이어트 음료 관심 UP↑
여름 휴가철을 맞아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건강을 중요하게 여기는 트렌드가 뚜렷해지면서 저당, 저칼로리 음료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10명 중 4명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체중이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 활동량 및 운동이 줄어들고 식습관이 변화한 탓이다. 코로나19 이후 생활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변화로도 체중 증가를 뽑았다.
특히 체중에 민감한 여름, 다이어트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과거와 다르게 다이어터들은 극단적인 단식이나 무리한 운동으로 체증 감량을 하지 않는다. 어차피 다이어트할 거면 행복하게 다이어트 (어다행다)를 철저히 따르며 먹는 즐거움은 유지한 채 건강한 식단과 운동을 병행한다. 건강한 다이어트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저당, 저칼로리 음료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메가엠지씨커피는 건강 트렌드에 맞게 '타임 투 헬시' 토핑 옵션을 선보였다. 이는 '아몬드 밀크', '스테비아', '라이트 바닐라 시럽' 등 3종이다.
'아몬드 밀크'는 일반 우유 대비 1/3의 부담 없는 칼로리(45kcal)로 비타민 E를 함유한 식물성 음료다. 출시 후 예상치보다 2배 이상 판매되며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비건, 가치소비 등 시장의 흐름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업계 판단이다.
'스테비아'는 설탕을 대신해, 단맛은 살리고 칼로리로 인한 혈당 상승, 체중 증가 억제를 돕는 옵션으로 건강과 다이어트 모두 제격이다. '라이트 바닐라 시럽' 역시 당 함량을 낮추고 달달함과 부드러운 풍미를 자랑하는 건강식 토핑이다.
지난 2006년부터 제로 콜라를 출시해 마니아층이 두터운 코카콜라도 한정판 ‘제로 스타더스트’를 새롭게 선보였다. 우주의 짜릿함을 담는다는 콘셉트로 만들어진 제로 스타더스트는 탄산의 톡 쏘는 맛 대신 부드러움과 과일향을 강조했다. 기존 어두웠던 색상도 분홍과 보랏빛을 섞었다.
코카콜라는 제로 스타더스트에 이어 제로 마시멜로까지 출시하면서 제로 슈거, 수박, 딸기 맛을 적극적으로 표현했다. 건강을 중시하는 새로운 세대를 겨냥한 모습이다.
농심은 칼로리 제로 음료로 달콤한 과즙과 시원한 탄산 조합이 유명한 웰치 소다 제로 버전을 출시했다. 상큼한 과즙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칼로리는 제로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웰치제로 그레이프 맛’, ‘웰치제로 오렌지 맛’이다. 웰치제로는 두 가지 맛을 동시에 내놔 소비자 선택지를 넓혔을 뿐 아니라 제로 칼로리 음료 중 과즙이 함유된 제품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다.
◆오션월드, 로스트아크와 온·오프라인 콜라보
소노인터내셔널이 운영하는 워터파크 오션월드가 MZ세대 고객들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국내 대표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로스트아크(LOSTARK)’와 온, 오프라인 제휴 마케팅을 선보인다.
소노인터내셔널은 로스트아크 개발 및 운영사 스마일게이트 RPG와 오는 9월 30일까지 오션월드 현장 및 인게임(In-game)을 연계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활동을 전개한다고 27일 밝혔다. MZ세대 유저를 다수 보유한 게임사와의 협업으로 잠재고객을 확보하고, 여행 및 호텔&리조트 업계로의 유입도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2018년 11월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로스트아크는 최고 동시접속자 35만명, 월간 순수 이용자 100만명을 기록한 PC MMORPG다. 지난 2월에는 글로벌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STEAM)’을 통해 북미와 남미, 유럽 등 세계 160여개국에 정식 서비스를 제공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오션월드 패밀리풀에 로스트아크 대표 마스코트인 ‘모코코’의 포토존을 조성하는 한편, 파도풀과 워터플렉스 등 곳곳에 로스트아크 조형물을 세워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도권에서 오션월드를 오가는 셔틀버스 외관도 모코코로 꾸며 고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온라인 게임상에서는 로스트아크 여름축제 ‘마하카라 페스티벌’에서 오션월드를 브랜딩한 포토존과 어트랙션을 선보인다. 또 오션월드 제휴 퀘스트를 통해 여름시즌과 어울리는 이벤트도 운영할 예정이다.
모코코와 콜라보한 비치백과 무드등을 비롯해 캐릭터 피규어, 게임 쿠폰 등 굿즈 마케팅도 진행된다. 굿즈는 오션월드 입장권 및 객실 패키지 상품을 구매한 고객들이 받을 수 있는데, 선착순 한정수량으로 증정된다.
이번 로스트아크와의 제휴 관련 세부내용과 패키지 상품 정보는 소노호텔앤리조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노인터내셔널 관계자는 “MZ세대 고객들은 이전과는 다른 소비성향으로 업계 전체의 이슈와 트렌드를 주도한다는 점에서 현재와 미래 시장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소비층”이라며 “앞으로도 MZ세대 고객들의 니즈를 선제적으로 충족시키는 동시에 소통도 강화할 수 있도록 분야별 접점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통경제 이슈] 허닭, 여름휴가철 맞아 2분기 판매량 22% 상승 外
기사입력:2022-07-27 18:33: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4.87 | ▲8.26 |
코스닥 | 723.17 | ▲5.93 |
코스피200 | 339.54 | ▲0.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819,000 | ▼239,000 |
비트코인캐시 | 531,000 | ▼2,000 |
이더리움 | 2,658,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60 | ▼120 |
리플 | 3,209 | ▼2 |
이오스 | 1,021 | ▼9 |
퀀텀 | 3,180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99,000 | ▼129,000 |
이더리움 | 2,655,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80 | ▼80 |
메탈 | 1,212 | ▼8 |
리스크 | 783 | ▼7 |
리플 | 3,209 | ▼1 |
에이다 | 1,026 | ▼8 |
스팀 | 21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760,000 | ▼34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500 |
이더리움 | 2,656,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80 | ▼80 |
리플 | 3,210 | ▼2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6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