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GC녹십자 산하 3개 계열사 및 GC녹십자의료재단은 국내 유일 플래티넘 스폰서로 공동 참가한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IFCC Seoul 2022)’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8일 밝혔다.
GC녹십자의료재단과 GC녹십자MS, GC셀, GC지놈은 이번 학회에서 부스 및 학술세미나를 운영해 우수한 진단검사 서비스로 주목을 받았으며, 판로 개척 및 해외시장 진출 등의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IFCC 행사 기간동안 유럽 및 동남아시아 3개 파트너사와 글로벌 진단검사 서비스 협약을 체결했다. 해당 기업은 헝가리의 ‘Holdinvest’와 보스니아의 ‘Poliklinika Atrijum’, 동남아시아의 진단검사 시장을 대표하는 태국의 ‘Bangkok Medical Laboratory’까지 총 3개사다. 재단은 헝가리 소재 Holdinvest사와의 계약을 시작으로 국내 수탁기관 중 최초로 유럽지역 업체에 진단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태국의 Bangkok Medical Laboratory사와 계약을 통해 동남아시아 지역의 서비스를 확대하게 됐다. 그 외 GC지놈은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의 국가와 신규 거래 발굴 기회를 확보하는 등 해외 시장 저변 확대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GC녹십자 산하 3개 계열사 및 GC녹십자의료재단이 함께한 GC부스는 ‘Journey to Healthy Life’를 주제로 ‘원스톱 진단검사 서비스’를 알리기 위해 전 과정을 비행 탑승 시스템에 비유해 운영됐다. 학회 기간 동안 500여명이 넘는 인원이 방문하는 등 참관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또한, 메타포트를 이용해 GC녹십자의료재단의 실제 검사실 내부를 3D 가상현실로 투어 하거나, GC녹십자MS의 개인용 체외 진단 제품인 ‘GCare LIPID’를 직접 체험하고 검사 결과지를 받아보는 등 참여형 프로그램을 마련해 방문객 대상으로 서비스 및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이와 더불어, 진단검사의 중요성과 가치를 제고하고 전문지식과 주요 현안을 교류하기 위해 각 사 별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코로나 시대 이후의 진단검사시장’이라는 주제로 해외 명망가 및 국내 유명 연사를 초청해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전문성을 지닌 6명의 연사들은 ▲전 세계 각 지역별로 전개될 시장의 변화 예측 ▲코로나19 이후 진단검사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 예측 등을 주제로 토론을 이어갔다. 이번 워크샵에는 120여명 이상의 전문가 및 의료관계자들이 참가했으며, 향후 글로벌 진단검사 시장을 미리 파악하고 대비하는데 유익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이은희 GC녹십자의료재단 이사장은 “이번 IFCC 참가를 통해 국내를 넘어 해외 진단검사 학계 및 업계에 GC녹십자 산하 계열사 및 의료재단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알리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며 “이번 학회를 기점으로 글로벌 진단검사 브랜드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IFCC Seoul 2022)’는 100개국 이상에서 약 4,000여 명의 임상화학과 진단검사의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분야의 지식을 공유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로 지난 26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됐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GC녹십자 산하 계열사 및 GC녹십자의료재단,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IFCC)’ 성료
기사입력:2022-07-08 13:38:4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3,870,000 | ▲13,000 |
비트코인캐시 | 586,500 | ▲1,500 |
이더리움 | 3,48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70 | ▼50 |
리플 | 3,373 | ▼1 |
이오스 | 1,290 | ▲5 |
퀀텀 | 3,506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3,898,000 | ▲158,000 |
이더리움 | 3,480,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50 | 0 |
메탈 | 1,275 | ▲10 |
리스크 | 779 | ▲3 |
리플 | 3,373 | ▼3 |
에이다 | 1,136 | ▼2 |
스팀 | 22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3,85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584,000 | ▼1,500 |
이더리움 | 3,482,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720 | ▼130 |
리플 | 3,373 | ▼3 |
퀀텀 | 3,508 | 0 |
이오타 | 34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