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미래 콘텐츠산업을 이끌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2022 콘텐츠임팩트’의 교육 참가자를 오는 24일까지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콘진원에 따르면 ‘콘텐츠임팩트’는 첨단 문화기술과 콘텐츠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미래형 콘텐츠의 발굴과 개발을 지원하며, 국내 유수의 기업 및 대학에서 강의와 멘토링, 협업 프로젝트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지난 2017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2022 콘텐츠임팩트’는 콘텐츠와 과학기술, 인공지능, 감성인식기술, 공연기술 등을 결합한 5개 교육과정과 ‘2019-2021 콘텐츠임팩트 우수프로젝트 후속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총 45개 팀, 190여 명의 교육 참가자를 선발한다.
특히, 올해는 융복합 콘텐츠 분야를 선도하는 대표 기업들과 함께 ‘산업계 연계형’ 과정을 신설했다. ▲네이버 OGQ의 ‘디지털 콘텐츠 NFT 프로젝트’ ▲디스트릭트의 ‘ARTE META 연계 아트워크 프로젝트’ ▲유니티 코리아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 ▲자이언트스텝의 ‘리얼타임 모션그래픽 제작 프로젝트’ 등을 비롯한 총 9개 기업이 참여해 맞춤형 교육과정과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 X 미디어아트) 다빈치 프로젝트’는 미디어 아티스트, 문화기술 개발자 등과의 협업으로 첨단기술과 예술적 영감을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창작에 도전한다. ▲‘(인공지능 X 하이브리드콘텐츠) AI Meets Hybrid’ 과정은 인공지능과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와의 융합으로 ‘기획-제작-유통’에 있어 새로운 변화를 이끌고자 한다.
또한, ▲‘(감성인식기술 X 인터랙티브 콘텐츠) 콘텐츠, 공감하다’ 과정은 생체신호와 안면인식, 음성인식 등을 포함한 멀티모달(Multi-Modal) 데이터를 활용해 공감형 콘텐츠나 서비스 발굴에 나선다. ▲‘(공연기술 X 라이브퍼포먼스) Future on the Stage’ 과정은 프로젝션 맵핑, 홀로그램, 확장현실(XR) 등의 기술을 활용한 융복합 공연 콘텐츠를 기획할 예정이다.
이번 교육은 융복합 콘텐츠 분야 전문가 100여 명이 강사 및 멘토진으로 참여하고,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팀당 최대 1300만원의 프로젝트 수행비를 지원한다. 또한, 교육기간 중 콘진원의 콘텐츠 인재양성 플랫폼인 ‘콘텐츠인재캠퍼스’의 보유시설과 최신 장비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도 제공된다.
한편, ‘콘텐츠임팩트’를 통해 그간 발굴된 융복합 인재들이 두각을 나타내며 그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김시연 작가는 미디어아트로 재구성한 <시티 리듬(City Rhythm)>으로 ‘2019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컴퓨터 애니메이션 부문에서 영예상을 수상했으며, 2020년 배주현, 박상연, 염한림, 이재현, 임일주 5명으로 구성된 VRP팀의 VR 체험 단편 공포영화 <The Bus>는 ‘2020 XR 그랜드 챌린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이민영 작가가 참여한 ‘WetheFuture(위더퓨처)’팀은 3D 기술과 인터랙티브 영상 효과를 더한 융복합 퍼포먼스 <Stereotype(스테레오타입)>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융복합공연예술축제인 ‘2021 PADAF(파다프)’에서 최우수 연출상과 우수 작품상을 동시에 수상하기도 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신청방법은 콘진원 누리집과 콘진원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에듀코카에서 확인 가능하며, 오는 24일 오후 4시까지 접수하면 된다. 문의사항은 콘텐츠임팩트 운영사무국으로 하면 된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콘진원, ‘2022 콘텐츠임팩트’ 교육 참가자 모집
기사입력:2022-06-10 17:11: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164,000 | ▲214,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2,500 |
이더리움 | 2,65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90 | ▲90 |
리플 | 3,197 | ▲4 |
이오스 | 994 | ▲12 |
퀀텀 | 3,190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074,000 | ▲224,000 |
이더리움 | 2,655,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20 | ▲170 |
메탈 | 1,218 | ▼1 |
리스크 | 793 | ▲3 |
리플 | 3,199 | ▲6 |
에이다 | 1,018 | ▲4 |
스팀 | 21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06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22,000 | ▲1,000 |
이더리움 | 2,654,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00 | ▲120 |
리플 | 3,197 | ▲5 |
퀀텀 | 3,190 | ▲35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