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안재민 기자] 이종성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이 25일(금) 공공 의료기관이 의무적으로 장애인 건강검진사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내용의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다고 밝혔다.
현행법에서는 장애인 건강검진사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으로 지정받도록 하고 있으며, 정부는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을 확대하기 위해 장애 편의시설 설치에 따른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관에서 장애친화 시설 기준에 따른 공간 마련의 어려움, 운영에 따르는 비용 부담 등의 문제로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다.
실제로 이종성 국회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장애인 건강검진 지정기관 현황에 따르면 2019년 8개소, 2020년 8개소, 2021년 3개소로 지금까지 19개 기관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에 이종성 의원이 대표발의하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에서는 공공의료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의료기관에 의무적으로 장애친화 검진기관 요건을 갖추고 등록을 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현재 전국의 공공의료기관 194개소 중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은 11개소뿐이다.
이종성 의원은 “건강검진은 건강위험요인과 질병을 조기 발견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책임에도 장애인들은 물리적, 의사소통 등의 문제로 건강검진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라며 “법 개정으로 전국 공공의료기관에 장애인 건강검진 기관을 확대하여서 장애인들의 검진 기관 접근성을 높이게 될 것이며, 장애인들의 건강권을 확보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이종성 의원, 공공의료기관 장애인 건강검진 의무화 법안 발의
기사입력:2022-03-25 20:00: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9.94 | ▼40.87 |
코스닥 | 812.97 | ▼8.72 |
코스피200 | 428.05 | ▼6.5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67,000 | ▲539,000 |
비트코인캐시 | 707,000 | ▲4,000 |
이더리움 | 5,030,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230 | ▼400 |
리플 | 4,825 | ▲32 |
퀀텀 | 3,368 | ▼3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37,000 | ▲532,000 |
이더리움 | 5,025,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210 | ▼460 |
메탈 | 1,147 | ▼5 |
리스크 | 668 | ▲0 |
리플 | 4,824 | ▲34 |
에이다 | 1,199 | ▼1 |
스팀 | 21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950,000 | ▲520,000 |
비트코인캐시 | 707,000 | ▲4,000 |
이더리움 | 5,030,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230 | ▼470 |
리플 | 4,827 | ▲29 |
퀀텀 | 3,373 | 0 |
이오타 | 31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