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팜한농(대표 이유진)이 최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실시한 ‘2021년 농식품 연구개발사업 기술 상용화 실태조사’에서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농업현장체감 부문 원장상’을 수상했다.
팜한농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농림축산식품부의 연구개발사업 중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의 ‘미생물 유전체 정보 활용 경제작물 미생물농약 개발 과제’에 참여해 전북대학교 김재수 교수와 함께 살충 활성 미생물 균주(Beauveria bassiana ERL836)를 개발했다. 이 균주를 활용해 2017년 국내 최초로 총채벌레 번데기 관리용 토양처리형 자재인 ‘총채싹’을 출시한 데 이어 2020년에는 기능을 개선한 ‘총채싹플러스’를 출시해 농산업계의 호평을 받았다.
그동안 작물의 잎과 줄기에 처리해 총채벌레 유충 및 성충을 방제하는 제품은 많았지만, 토양에 처리해 총채벌레 번데기를 방제하는 제품은 팜한농 ‘총채싹’이 처음이다. 총채벌레는 일명 ‘칼라병’을 유발하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를 전염시켜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성충 1마리가 최대 360개의 알을 낳을 만큼 번식력이 강해 방제하기가 매우 어렵다.
팜한농 작물보호연구소의 오기훈 책임은 “탁월한 약효와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갖춘 작물보호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농업인들에게는 새로운 고객경험을 제공하고, 농촌의 일손 부족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는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팜한농, 해충 번데기 방제하는 생물농약 개발 성과 인정받아
기사입력:2022-02-18 12:25: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8.07 | ▼4.22 |
코스닥 | 820.67 | ▲2.40 |
코스피200 | 431.10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21,000 | ▲1,000 |
비트코인캐시 | 719,500 | 0 |
이더리움 | 5,017,000 | ▲2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170 | ▲90 |
리플 | 4,703 | ▲29 |
퀀텀 | 3,463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487,000 | ▼24,000 |
이더리움 | 5,013,000 | ▲2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120 | ▲40 |
메탈 | 1,158 | ▲12 |
리스크 | 667 | ▲7 |
리플 | 4,700 | ▲25 |
에이다 | 1,150 | ▲1 |
스팀 | 21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39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718,000 | ▼1,500 |
이더리움 | 5,015,000 | ▲2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140 | ▲20 |
리플 | 4,703 | ▲31 |
퀀텀 | 3,448 | ▼11 |
이오타 | 322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