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지난 10월 29일 오전 인천시청 앞에서 화수·화평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조합장 전기원, 이하 조합측)은 ‘내 집 마련 소중한 꿈 짓밟는 인천시장은 물러나라’ ‘좁아터진 길! 한 지붕 밑 여러 가구! 119도 못 찾아요!’등 현수막을 들고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조합원들은 화수화평재개발구역은 “인천시의 대표적인 주거환경 취약지구다”라며 안전한 주거환경을 위해 재개발이 시급한데 “인천시와 동구청의 훼방과 고의로 인해 재개발사업진행이 지연돼 힘없는 조합원들의 금전적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고 강력하게 주장하며 한목소리로 성토했다.
이 과정에서 한 조합원은 “집도 못 팔게 해서 죽을 지경”이라고 통곡하며 박남춘 인천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면서 시청본관에 들어가려고 하는 어르신(여)과 조합원들을 인천시청 측이 제지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한 어르신이 드러누워 성토하다 탈진해 119가 출동하는 심각한 상황이 벌어졌다.
화수·화평재개발구역은 미문의일꾼교회(인천도시산업선교회)가 인천 노동운동의 문화적 가치를 보존해야 한다며 종교예정(대체)부지로 이전을 거부하고 뒤늦게 존치를 요구하고 있어 주민들과 의견이 대립되고 있는 현장이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화수·화평 구역은 재개발이 가능하게 고시되었으며 계획대로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조합측과 교회측 양쪽모두 민원을 제기하고 있어 원만하게 해결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그러나 지역정치권이 개입해도 절차대로 진행될 예정이다”라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하지만 조합측은 재개발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 결정을 고시했음에도 인천시가 고의로 재개발 사업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우려와 의혹을 제기하며 인천시와 동구청에 절차대로 재개발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해 달라며 규탄하고 있는 상태다.
이날 성명서 발표에 이어 인천시 관계자들은 화수·화평 조합 사무실을 방문해 조합원들과의 간담회를 가졌으며 “교회와 조합 양측이 원만히 해결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어가겠다.”며 “대화를 하는 동안 양측 모두 비방 혹은 대립하는 모습을 자제하기 바란다.”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간담회 이후 전기원 조합장은 “절차대로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를 바랄 뿐”이라며 “조합도 교회와 갈등이 심해지고 충돌이 벌어지는 상황을 바라지 않는다”고 입장을 전했다.
이어 “인천시의 중재노력을 존중하고 이에 협조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겠다”며 “시가 중재를 위해 노력하는 동안 문화재 지표조사와 교통환경영향평가 등 남은 행정절차를 차분히 진행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한편, 화수화평재개발정비구역 인천광역시 동구 화평동 1-1번지 일원 180,998㎡의 부지에 3,183세대 아파트를 건립할 계획이다. 노동운동에 앞장선 인천도시산업선교회의 자취를 보존하기 위해 교회를 존치해야 한다는 미문의 일꾼교회 측과 낙후되고 위험이 산재된 마을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재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5천 7백여 주민의 바람이 대립하고 있어 상방충돌 없는 원만한 해결책을 인천시가 도출할지 이를 지켜보는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화수·화평재개발조합측, “재개발 방해 말고 법대로 신속히 진행하라” 한목소리로 ‘성토’
인천시, “양측 모두 민원이기에 원만한 해결 위해 중재노력 기울일 것” 입장 전해 기사입력:2021-11-03 10:36:5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8.73 | ▲26.99 |
코스닥 | 782.51 | ▲5.27 |
코스피200 | 428.50 | ▲4.0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485,000 | ▼99,000 |
비트코인캐시 | 826,000 | ▼2,500 |
이더리움 | 6,82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440 | ▲380 |
리플 | 4,281 | ▲45 |
퀀텀 | 4,639 | ▲13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536,000 | ▼198,000 |
이더리움 | 6,82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420 | ▲420 |
메탈 | 1,061 | ▲12 |
리스크 | 555 | ▲8 |
리플 | 4,279 | ▲42 |
에이다 | 1,296 | ▲17 |
스팀 | 190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41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825,000 | ▼3,500 |
이더리움 | 6,82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470 | ▲450 |
리플 | 4,281 | ▲40 |
퀀텀 | 4,612 | ▲112 |
이오타 | 28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