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안재민 기자] 올 상반기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 83%는 정부기관 등을 사칭한 범죄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민형배(더불어민주당, 광주시 광산구을)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범죄유형별 보이스피싱 피해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금융감독원에 보이스피싱 피해구제를 신청한 계좌 14,065건 중 정부기관 등 사칭형이 83.4%인 14,065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정부기관 사칭형 보이스피싱은 전체 피해 50,013건 중 15.4%인 7,712건을 차지했다. 이후, 2018년 21.7%, 2019년 22.4%, 2020년 43.2%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다 올해 상반기 11,732건으로 83.4%를 차지해 처음으로 대출빙자형을 넘어 가장 흔한 보이스피싱 유형으로 자리잡았다.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이 가장 많이 사칭한 기관은 검찰이었다. 경찰청이 제출한 ‘사칭기관별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8월말 기준, ‘검찰’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3,283건으로 전체의 70.2%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경찰(6.1%, 287건), 금감원(5.5%, 256건) 순이었다.
민형배 의원은 “코로나로 재난지원금 및 서민금융제도 안내, 코로나 안내 문자 등 정부발 문자가 급증하면서 보이스피싱의 가장 흔한 수법도 정부기관 사칭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은 정부발 실제 메시지의 신뢰도마저 저하할 수 있는 만큼, 관계 당국의 각별한 단속과 처벌로 근절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민형배 의원, ‘기관사칭’ 보이스피싱 전체 83%... 관계당국 대응 마련 촉구
기사입력:2021-10-07 19:00: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6.05 | ▲5.60 |
코스닥 | 806.95 | ▼2.94 |
코스피200 | 430.78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55,000 | ▲85,000 |
비트코인캐시 | 822,500 | ▲500 |
이더리움 | 5,223,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20 | ▼110 |
리플 | 4,388 | ▲9 |
퀀텀 | 3,209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80,000 | ▲196,000 |
이더리움 | 5,225,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90 | ▼120 |
메탈 | 1,114 | ▼6 |
리스크 | 660 | ▼1 |
리플 | 4,382 | ▲8 |
에이다 | 1,127 | ▼1 |
스팀 | 20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40,000 | ▼50,000 |
비트코인캐시 | 823,000 | ▼1,500 |
이더리움 | 5,22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60 | ▼60 |
리플 | 4,389 | ▲11 |
퀀텀 | 3,182 | 0 |
이오타 | 29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