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안재민 기자] 미성년자 무면허 교통사고가 2년 새 약 3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생활 교통 안전교육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이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미성년자 무면허 교통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 618건 △2019년 689건 △2020년 833건으로 증가했다.
지난 3년 간 2,140건의 사고가 일어나 3,121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63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최근 3년간 무면허 사고 관련 가해 미성년자의 연령 분포도를 보면, 17세가 27.7%로 가장 많았으며, △16세 22.5% △18세 21.5%가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최근 3년간 18세를 제외한 모든 미성년자 연령층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0년 미성년자 무면허 교통사고 현황을 시도별로 보면, △경기 207건 △서울 144건 △부산 60건 △대구 58건 △경북 55건 △경남 52건 △인천 43건 △광주 40건 △충북 36건 △전남 33건 △충남 32건 △대전 20건 △제주 17건 △전북 15건 △강원 11건 △울산 8건 △세종 2건 순이었다.
강득구 의원은 “최근 무면허 미성년자들의 위험한 질주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렌터카 업체에 다른 사람의 명의를 도용해 비대면 방식으로 차량을 빌린 후 사고를 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렌터카 회사는 강력한 신분 확인 절차를 마련하고, 정부에서도 이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강득구 의원, 미성년자 무면허 교통사고 급증... 교통안전 교육 대책 필요
기사입력:2021-10-07 18:39:3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6.05 | ▲5.60 |
코스닥 | 806.95 | ▼2.94 |
코스피200 | 430.78 | ▲0.7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50,000 | ▲69,000 |
비트코인캐시 | 822,500 | ▲500 |
이더리움 | 5,224,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20 | ▼120 |
리플 | 4,384 | ▲10 |
퀀텀 | 3,209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34,000 | ▲251,000 |
이더리움 | 5,219,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90 | ▼130 |
메탈 | 1,114 | ▼6 |
리스크 | 660 | ▼1 |
리플 | 4,377 | ▲3 |
에이다 | 1,126 | ▼2 |
스팀 | 203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40,000 | ▼100,000 |
비트코인캐시 | 823,000 | ▼1,500 |
이더리움 | 5,215,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460 | ▼110 |
리플 | 4,382 | ▲4 |
퀀텀 | 3,182 | 0 |
이오타 | 29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