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아파트에 이어 오피스텔, 생활형숙박시설, 도시형생활주택 등 비아파트 시장에서도 10대 건설사의 브랜드 주거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브랜드 주거상품은 높은 인지도와 신뢰도를 갖춘 10대 대형건설사의 노하우와 마케팅을 바탕으로 입지를 선정하고 상품을 설계하기 때문에 수요자들의 기대를 다방면으로 충족시켜 줄 만한 상품성을 갖추고 있다.
또 브랜드 주거상품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상징성과 희소성도 돋보인다. 여기에 아파트에서 브랜드 프리미엄을 경험한 수요자들이 아파트가 아닌 다른 주거상품에서도 브랜드를 선호하면서 높은 청약경쟁률은 물론 향후 시세상승에도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최근에 선보인 비아파트 주거상품 중 브랜드를 단 상품들의 인기가 눈에 띈다.
지난 3월 부산시 북항 재개발 사업지에서 공급된 생활형숙박시설 ‘롯데캐슬 드메르’의 청약에는 43만여건의 청약이 접수되며 평균 35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6월 경기 수원시 권선구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수원 테라스’ 도시형 생활주택도 평균 47.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웬만한 아파트 못지 않은 높은 수준을 보여줬다.
뿐만 아니라 브랜드 유무에 따라 시세에도 차이가 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경기도 고양시 ‘e편한세상시티삼송’ 오피스텔의 전용 54㎡는 지난 5월 5억8500만원에 실거래됐다. 1년 전 4억1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해 42.6%가 상승했다. 반면 비슷한 입지의 ‘현대썬앤빌’ 오피스텔 전용 48㎡의 5월 실거래가는 3억4500만원으로 1년 전(최고 2억8000만원) 가격 대비 23.2% 상승에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비아파트 주거상품이 아파트 대체주거지로 주목을 받으면서 브랜드에 대한 선호현상도 높아지고 있다”며 “아파트 못지않은 프리미엄과 경쟁률을 자랑하며 승승장구하고 있어 앞으로 브랜드 주거상품에 대한 선호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올 하반기 공급 예정인 10대 건설사의 브랜드 주거상품이 수요자들의 눈길을 끌 전망이다.
롯데건설은 오는 10월 경기 고양시에 공급하는 ‘고양 화정 루미니’를 통해 새로운 도심형 주거 브랜드 ‘루미니’를 선보인다. 루미니는 ‘Urban Standard(도시의 기준이 되는 주거공간)’을 컨셉으로 선보인 브랜드로, 도심 속 빛나는 주거공간을 짓겠다는 롯데건설의 포부를 담아 ‘luminous’에서 브랜드명을 착안했다. 첫 사업지 ‘고양 화정 루미니’는 지하 5층~지상 24층, 전용 77∙81∙84㎡ 총 242실 규모로 조성된다. 또 GTX-A노선의 수혜를 누리는 단지로 삼성역까지 30분대에 이동할 수 있으며, 화정역 환승역세권의 편리한 교통여건, 창릉신도시 개발호재, 공세권 입지까지 갖출 예정이다.
한국토지신탁과 대우건설은 9월 인천시 서구 경서3구역 도시개발지구에 들어서는 '경서 북청라 푸르지오 트레시엘'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49층, 6개동, 총 1,522실 규모의 초고층 브랜드 대단지로 조성되며, 전 실이 중소형 아파트 세대(25평형) 구조인 전용면적 83㎡ 단일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지 바로 앞에 도시공원 특례사업이 예정된 연희공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공촌천, 아라뱃길, 베어즈베스트GC 등도 가까워 쾌적한 주거환경이 기대된다.
현대건설은 서울시 중구에 들어서는 도시형 생활주택 '힐스테이트 남산'을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9층, 2개동, 전용면적 21~49㎡ 282세대 규모로 근린생활시설이 함께 조성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10대 건설사 브랜드 프리미엄 누리는 주거상품 ‘인기’
기사입력:2021-09-09 16:34: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831,000 | ▲346,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3,000 |
이더리움 | 3,537,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80 | ▲120 |
리플 | 3,135 | ▼2 |
퀀텀 | 2,722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888,000 | ▲410,000 |
이더리움 | 3,539,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50 | ▲140 |
메탈 | 931 | ▼2 |
리스크 | 527 | ▼4 |
리플 | 3,137 | ▼1 |
에이다 | 801 | ▲2 |
스팀 | 17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91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689,000 | ▲1,500 |
이더리움 | 3,541,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90 | ▲120 |
리플 | 3,135 | ▼3 |
퀀텀 | 2,716 | ▲19 |
이오타 | 21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