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 제주TP와 '사용 후 배터리 산업 발전 및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기사입력:2021-09-07 18:48:08
[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내 유일 공공 종합시험인증기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 원장 김세종)은 제주테크노파크(이하 제주TP, 원장 태성길)과 '사용 후 배터리 산업 발전 및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KTL에 따르면 '사용 후 배터리'란 용량이 초기 대비 약 70% 이하로 감소해 전기차용 배터리로서의 활용가치가 없어진 배터리로, 수거·선별 과정을 거쳐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등으로 재사용되거나 리튬, 코발트 등 핵심 소재를 재추출해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잔존가치가 높다.

양 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시험평가 개발 및 시험체계 구축 △국내 이차전지 산업 발전을 위한 R&D 역량강화 및 신규 협력사업 발굴 △사용 후 배터리 기술의 평가 관련 표준화 △제주 지역 사용 후 배터리 시험인증 등에 대한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약속했다.

세계 이차전지 산업 시장규모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힘입어 향후 10년간 8배 확대 등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들은 고부가 산업인 이차전지 산업을 국가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30 K-배터리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연구개발 허브(Hub)와 선도 제조기지, 핵심 소재·부품·장비 공급기지로 구축해 차세대 이차전지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과 구체적인 추진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사용 후 배터리 회수부터 재활용까지의 관리체계 구축뿐만 아니라 잔존용량 성능평가 및 잔류 수명 예측, 안전인증 등 다양한 기술과 표준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KTL은 제주TP와 사용 후 배터리 활용 분야 연구개발(R&D) 및 시험평가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사용 후 배터리 신규시장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관련 국제표준 개발을 선도해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적 우위 확보 및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김세종 KTL 원장은“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의 전문역량을 적극 활용해 미래 핵심 산업인 이차전지 및 사용 후 배터리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기업 동반 성장을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며 “사용 후 배터리의 시험평가 기반을 구축하고 다양한 수요 산업군을 발굴 지원하는 등 정부정책을 충실히 이행하고 우리기업의 혁신을 전 방위적으로 지원하는 것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26.87 ▲5.51
코스닥 725.07 ▼8.16
코스피200 350.45 ▲1.29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242,000 ▲174,000
비트코인캐시 563,500 ▲5,000
이더리움 3,677,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7,200 ▲240
리플 3,412 ▲28
이오스 1,194 ▼4
퀀텀 3,424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195,000 ▲127,000
이더리움 3,675,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7,200 ▲250
메탈 1,212 ▲3
리스크 769 ▲4
리플 3,409 ▲24
에이다 1,096 ▲8
스팀 215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23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562,000 ▲3,500
이더리움 3,673,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27,200 ▲410
리플 3,409 ▲24
퀀텀 3,391 0
이오타 327 ▲14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