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안재민 기자]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26일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누구나 어울릴 수 있는 ‘통합놀이터’ 조성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의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은 어린이놀이시설의 사용 주체를 장애‧비장애 아동으로 구분하지 않고 모든 아동을 그 이용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 대다수의 어린이놀이시설이 비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설계된 까닭에 장애 아동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놀이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실제로 2019년 말 기준, 18세 미만의 장애 아동이 약 7만4000명이었음에도 전국 6만여 개의 놀이터 중 장애인의 이용을 고려한 놀이기구가 설치된 놀이터는 단 10여 개에 불과한 수준이었다.
이는 독일과 스웨덴 등 유럽 국가와 미국 등에서 중앙 정부 차원의 통합놀이터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거나 놀이터를 만들 때 장애 아동들이 함께 어울려 놀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있는 것과 비교되는 실정이다.
특히 ‘유엔아동권리협약’ 제31조 및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7조에서도 모든 아동은 장애 유무나 장애 정도에 따라 차별받지 않고 완전히 참여하여 놀 권리를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최초의 통합놀이터는 불과 5년 전인 2016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이에 대한 법 규정 역시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이종성 의원은 개정안을 통해 국가 등에 장애 어린이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조성할 책무를 부여하고 행정안전부장관은 장애 어린이의 이용에 적합하도록 어린이놀이기구의 시설기준 등을 마련하도록 하며 일정 규모 이상의 어린이놀이시설 설치자는 장애 어린이의 접근이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고 그 비용의 일부를 국가 또는 지자체가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이종성 의원, 비장애 아동용 통합 놀이시설 설치 법안 발의
기사입력:2021-05-27 12:57: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30.57 | ▲21.05 |
코스닥 | 804.45 | ▲0.50 |
코스피200 | 435.84 | ▲2.4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595,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782,000 | ▲4,500 |
이더리움 | 5,231,000 | ▲3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30 | ▲290 |
리플 | 4,316 | ▲25 |
퀀텀 | 3,025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599,000 | ▲3,000 |
이더리움 | 5,231,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40 | ▲290 |
메탈 | 1,046 | ▼2 |
리스크 | 603 | ▲2 |
리플 | 4,318 | ▲25 |
에이다 | 1,079 | ▲8 |
스팀 | 19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680,000 | ▲120,000 |
비트코인캐시 | 780,000 | ▲500 |
이더리움 | 5,230,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40 | ▲280 |
리플 | 4,315 | ▲23 |
퀀텀 | 3,080 | 0 |
이오타 | 27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