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내 1위 시멘트기업 쌍용양회가 종합환경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새로운 사명, 쌍용C&E를 공식 선포했다.
쌍용C&E는 지난 26일 서울 중구 저동 본사에서 신규 사명 선포식을 열고 쌍용양회에서 쌍용C&E로의 기업 명칭 변경을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존 시멘트사업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2025년까지 환경사업의 비중을 전체 이익(EBITDA)의 50% 수준까지 확대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신규 사명인 쌍용C&E는 기업의 정체성인 ‘쌍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멘트(Cement)와 환경(Environment)의 이니셜인 ‘C&E’를 더해 만들어졌다. 친환경사업을 미래의 핵심 가치로 삼아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어가겠다는 비전과 전략을 담았다고 전했다.
지난 1962년 창사 이래 줄곧 시멘트사업에 주력해온 쌍용C&E는 이번 사명 변경을 계기로 사업영역을 환경분야로 확장하고, 친환경 자원순환형 사회를 선도하는 종합환경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쌍용C&E는 시멘트사업에서 환경사업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지속성장 발전해 나가기 위한 비전 ‘Green2030’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ESG 경영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지도 표명했다.
신규 사명 선포식에서 발표한 ‘Green2030’에는 △탈석탄, 친환경 자가발전을 통한 자원순환사회 구축 △사회공헌활동 강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준법·윤리경영 생활화와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 체계 강화 등 ESG 경영 실천을 위한 추진 전략과 주요 목표가 담겼다.
쌍용C&E는 ‘Green2030’ 비전 달성을 위해 지난해 12월 국내 시멘트업계 최초로 ESG경영혁신을 선포하고 전담조직인 ESG경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와 경영혁신 활동 등을 전개해 오고 있다.
쌍용C&E가 시멘트 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화석연료인 유연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다, 연소 과정에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등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쌍용C&E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해 연료인 유연탄을 폐플라스틱 등 순환자원으로 대체하기 위한 설비 개조 및 관련 인프라 구축을 통해 2019년 연간 150만톤 수준이던 유연탄 사용량을 지난해 100만톤까지 줄이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비전과 그린뉴딜에 기여하기 위해 2030년까지 유연탄을 폐플라스틱 등의 순환자원으로 전량 대체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해 국내 시멘트업계 최초로 석탄 사용량 제로(탈석탄)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쌍용C&E 홍사승 회장은 “지난 60여년 간 시멘트사업으로 한길을 걸어온 쌍용C&E가 사명 변경을 기점으로 깨끗한 미래 환경을 만드는 데 앞장서는 종합환경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며 “친환경 사업 확대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 적극 동참하고 사회적 책임 이행과 경영 투명성 제고로 지속가능발전을 이어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쌍용양회, 쌍용C&E으로 사명 변경...종합환경기업으로 새 출발
기사입력:2021-03-29 21:30:3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92,000 | ▲159,000 |
비트코인캐시 | 533,500 | ▲4,500 |
이더리움 | 2,59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10 | ▲50 |
리플 | 3,165 | ▼6 |
이오스 | 970 | ▼4 |
퀀텀 | 3,101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51,000 | ▲32,000 |
이더리움 | 2,59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70 | 0 |
메탈 | 1,209 | 0 |
리스크 | 784 | ▲2 |
리플 | 3,164 | ▼9 |
에이다 | 989 | ▲3 |
스팀 | 21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05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534,000 | ▲5,000 |
이더리움 | 2,590,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60 | ▼20 |
리플 | 3,164 | ▼9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