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11일자 성명을 내고 “부산시교육청은 청렴도 평가하락의 불명예를 벗기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580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를 지난 9일 공개했다.
청렴도 평가는 해당 공공기관과 업무경험이 있는 국민(외부청렴도)과 공직자(내부청렴도) 등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와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종합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올해 청렴도 측정 결과, 17개 시·도 교육청의 종합청렴도 점수는 10점 만점에 8.25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0.45점 상승했다. 그러나 부산교육청의 경우 내부청렴도는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외부청렴도는 2등급에서 4등급으로 내려가 종합 4등급을 기록했다.
올해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타 시·도교육청의 청렴도가 대체적으로 향상한데 반해, 부산시교육청은 낙제점을 받은 것이다.
특히 시설공사·관리 영역 설문조사에서 “비위가 있다고 들은 적이 있다”. “금품수수가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는 대답이 나와서 부산시교육청의 청렴도 점수가 더 낮아진 것으로 알려져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10월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직무수행 지지도 조사 최하위, 부산 교육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성명을 발표하여 부산교육의 위상을 새롭게 정립해 줄 것을 요구한 적이 있다. 그럼에도 이런 결과가 나와서 유감이다.
박철중 부대변인은 “부산시교육감은 부산교육 비전을 부산시민들에게 새롭게 제시함과 동시에 청렴도 평가하락의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이 불명예를 벗기 위한 강도 높은 대책마련과 실행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국민의힘 부산시당 “부산시교육청은 청렴도 평가하락의 불명예를 벗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
기사입력:2020-12-11 21:31:2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437,000 | ▼2,066,000 |
| 비트코인캐시 | 760,000 | ▼12,500 |
| 이더리움 | 5,232,000 | ▼11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730 | ▼900 |
| 리플 | 3,706 | ▼80 |
| 퀀텀 | 2,835 | ▼84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453,000 | ▼2,132,000 |
| 이더리움 | 5,240,000 | ▼1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730 | ▼1,010 |
| 메탈 | 692 | ▼13 |
| 리스크 | 303 | ▼5 |
| 리플 | 3,706 | ▼81 |
| 에이다 | 863 | ▼24 |
| 스팀 | 125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390,000 | ▼2,080,000 |
| 비트코인캐시 | 760,000 | ▼12,000 |
| 이더리움 | 5,230,000 | ▼12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660 | ▼990 |
| 리플 | 3,707 | ▼82 |
| 퀀텀 | 2,849 | ▼53 |
| 이오타 | 217 | ▼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