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지난 3년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중 70%는 못 돌려받았는데 수협을 통해 보이스피싱을 당한 경우에 피해금을 돌려받지 못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최인호(부산 사하갑)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최근 3년간 18개 주요 시중은행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1조289억원이며 이중 돌려받지 못한 금액은 7,176억원으로 전체의 70% 수준이라고 11일 밝혔다.
피해금액 규모별로 보면 신한은행이 2,075억원(1위)으로 가장 많고, 국민은행 1,960억원(2위), 농협 1,861억원(3위), 우리은행 1,582억원(4위) 순이다.
지역은행 중에는 부산은행이 126억원(9위)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은행 88억원(12위), 경남은행 81억원(13위), 광주은행 39억원(14위) 순이다.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는 123억원으로 10번째로 피해금액이 많았다.
미환수 비율로 보면 수협이 81%로 가장 높고, SC제일은행 77%, 신한은행 76%, 우리은행 75.5%, 케이뱅크 75% 순이다.
수협과 농협은 지역상호금융업무를 같이 하고 있는데 고령자와 조합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수협과 지역농협의 피해규모가 더 컸다.
수협의 경우 3년간 피해액이 122억원인데 수협은행이 36억원으로 30%를 차지하고, 지역수협이 86억원으로 70%를 차지한다. 농협은 피해액 1,861억원 중 농협은행이 625억원(34%)이고, 지역농협이 1,236억원(66%)이다.
최인호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죄가 점차 지능화되고 피해금액도 커지고 있어 고령자 피해방지 대책과 환수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70% 못 돌려받아…수협 최고
최근 3년 보이스피싱 피해액 1조289억원 중 미환수액 7,176억원(70%) 기사입력:2020-10-11 09:46: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79,000 | ▲549,000 |
| 비트코인캐시 | 760,500 | ▲3,000 |
| 이더리움 | 5,253,000 | ▲1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00 | 0 |
| 리플 | 3,761 | ▼19 |
| 퀀텀 | 2,860 | ▲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897,000 | ▲596,000 |
| 이더리움 | 5,250,000 | ▲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90 | ▼20 |
| 메탈 | 697 | ▲3 |
| 리스크 | 303 | ▲1 |
| 리플 | 3,761 | ▼19 |
| 에이다 | 867 | 0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00,000 | ▲4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500 |
| 이더리움 | 5,25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20 |
| 리플 | 3,762 | ▼16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17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