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대안신당 소속 박지원 전 대표는 대검 간부 간의 상가집 언쟁에 대해 “내부에서는 얼마든지 찬성 반대 토론을 할 수 있지만 그러한 모습을 외부에 나와 국민 앞에서 보인 것은 대단히 잘못한 것”이라며 “‘네가 검사냐, 조국 변호인이냐’ 하는 말까지 나왔기 때문에 반부패강력부장이 아니라 친부패강력부장이라는 말까지 나온다”고 비판했다.
박 전 대표는 1월 20일 아침 KBS1-R <김경래의 최강시사, 정치의 품격>에 고정 출연해 “그러한 모습에 국민의 불안과 불만이 대단히 크다”며 “현재 분위기, 추미매 장관의 성격을 고려할 때 윤석열 총장이 ‘대검 중간 간부 인사에서 수사 라인은 남겨달라’고 의견을 제시했지만 그대로 갈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종 인사권자는 대통령이고, 제청권으로 실질적인 인사권을 행사 하는 추 장관에게 윤 총장이 의견을 제시했고, 그 의견을 다 받아들여야 한다고 할 수는 없다”며 “인사가 나면 일단 윤 총장도 인사 과정에서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에 받아 들여야 한다”고 했다.
박 전 대표는 안철수 전 대표의 귀국 및 호남 방문 일정에 대해 “(안 전 대표)가 자신을 강력하게 지지했지만 지금은 문재인 대통령을 아낌없이 지지해 주는 광주 시민들에게 그간의 행보에 대해 사과하고 큰 절을 올리는 것이라면 좋은 의미”라면서도 “제가 느끼는 광주의 민심은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 안철수에게 한 번 속지 두 번은 속지 않는다, 아니올시다’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안 전 대표가 “안 전 대표가 자신을 지지하는 의원들도 있고 조직도 있고, 돈도 있는 바른미래당에서 새로운 둥지를 일단 틀고 당명을 개정하고 당을 새롭게 바꿔 이것이 ‘철수당’이라고 강조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면서도 “안 전 대표가 돌아오면 모든 것을 주겠다는 손학규 대표 입장이 최근 확실치가 않는데 일단 손 대표를 만나봐야 알 것이고, 손 대표도 그렇게 모든 것을 다 그냥 갖다 바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수대통합 혁신통합추진위원회에 대해서도 “새보수당과 한국당의 갈등, 박근혜 탄핵에 대한 입장, 통합을 과정에서 지분을 인정하고 설사 통합하더라도 지분 공천을 해야 하는 점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할 때 잘 안 될 것”이라며 “혁신통합위원회가 신당 창당 준비위원회를 띄운다고 하지만 지금 한국당이 신인 인재를 영입하고 공천을 위한 수순을 밟아 가는 것을 보면 역시 총선은 분열, 대선은 통합으로 치르는 전례를 봐도 어렵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한국당은 민주당에게 1당을 빼앗기고 4+1 과정에서의 설움,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발목을 강하게 잡기 위해서 반드시 비례 위성 정당을 만들 것이고 황 대표도 그렇게 하겠다고 일관되게 이야기해 왔다”며 “그러나 민주당은 지도부가 비례 위성 정당을 만들지 않는다고 천명했기 때문에 국민과의 약속을 져 버릴 수 없어서 만들 수 없게 되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민주당도 이러한 한국당의 움직임에 대항해서 비례위성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이야기 했지만, 이렇게 되면 결국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서 한국당만 좋은 일 시켜주고 만약 한국당이 일당이 되면 4+1 개혁 법안 처리와 총리 인준 과정에서 보여 준 국회의장까지 빼앗기게 된다”며 “선거는 이기려고 하는 것인데 지금 민주당 누가 당 대표가 되더라도, 공자님이 되더라도 선거에 이기려고 할 것인데 정치를 그렇게 아마추어처럼 하면 어떻게 하냐”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박지원 "국민 앞에서 검찰 간부 공개 언쟁, 대단히 잘못된 것"
“안철수 귀국해 호남에 인사 및 사과하는 것 의미 있지만. 호남 민심은" 기사입력:2020-01-20 11:03: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15,000 | ▲204,000 |
| 비트코인캐시 | 758,000 | ▼2,000 |
| 이더리움 | 5,257,000 | ▲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10 | ▼30 |
| 리플 | 3,768 | ▼19 |
| 퀀텀 | 2,872 | ▲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65,000 | ▲265,000 |
| 이더리움 | 5,260,000 | ▲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30 | ▼10 |
| 메탈 | 697 | ▼2 |
| 리스크 | 304 | 0 |
| 리플 | 3,766 | ▼20 |
| 에이다 | 870 | ▲1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30,000 | ▲33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000 |
| 이더리움 | 5,255,000 | ▲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50 |
| 리플 | 3,764 | ▼22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17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