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탈모 시장에서 소비자층이 중년 남성에서 2030세대와 여성 고객으로 확대된 것은 새로운 소식이 아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30대(26.9%), 40대(22.1%), 20대(21.9%) 순으로, 20~30대 젊은 층이 탈모 치료 인구의 약 4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탈모 환자 역시 전체 환자 중 약 45%를 차지하는 수준으로 남녀 비율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헤어∙탈모 케어 업계에서는 탈모 시장의 떠오르는 소비층인 ‘젊은 세대’와 ‘여성 고객’을 잡기 위해 앞다퉈 새로운 광고를 선보임은 물론, 보다 다양한 성분과 패키지, 디자인 등에 아이디어를 더해 승부수를 두고 있다.
■ ‘여성’ 타깃 광고로 여심 사로잡는 두피∙탈모 케어 브랜드
자올 닥터스오더는 여성들이 갖고 있는 고민을 광고로 표현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 피부는 잘 관리하고 있지만 넓어진 이마 라인을 보고 충격 받는 여성을 영상에 담아내 여성들의 공감을 샀다.
자올 닥터스오더는 여성만을 위한 탈모 케어 라인을 제공한다. 두피∙탈모 개선에 도움을 주는 ‘스칼프 스케일링 샴푸 우먼’과 두피 마사지와 영양 공급이 한 번에 가능한 ‘시너지 부스터 우먼’은 기존 오리지널 라인에서 ▲석류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하수오뿌리추출물 ▲이소플라본이 다량 함유된 5가지 콩과 칡 등을 추가, 여성들의 두피 각질 및 탈모 개선을 돕고 있다.
헤어랜드는 배우 임지영을 모델로 기용하여 중년 여성의 고충을 담은 광고를 공개해 화제를 모았다. 중년 여성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흔히 겪는 스트레스와 외로움, 고충을 통해 탈모로 고민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우회적으로 표현하여 공감을 이끌어냈다.
헤어랜드의 머리나라 프리미엄플러스 샴푸와 토닉은 약 10년 동안 몇 번의 리뉴얼을 거쳐 만들어진 제품이다. 머리나라 프리미엄플러스 샴푸는 중국의 인삼 종류인 삼칠과 한국의 홍삼, 불가리쑥, 병풀 등이 함유되었고, 헤어 토닉은 효소 추출물인 HMB 성분이 더해져 예민해진 두피의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2030 잡아라! ‘아이돌’ 모델 기용하는 두피∙탈모 케어 브랜드
닥터그루트는 탈모 케어 제품의 올드한 느낌을 탈피하고 젊은 소비자들에게 더 다가가기 위해 아이돌 그룹 슈퍼주니어 김희철을 모델로 발탁하였다. 김희철은 과거 TV 프로그램에서 탈모 고민을 털어놓은 적이 있어, 소비자들에게 진정성을 어필할 수 있었다.
닥터그루트의 주력 제품인 ‘힘없는 모발용 샴푸’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탈모 증상 완화 기능을 보고한 기능성 샴푸이다. 센텔라, 박하, 상황 버섯 등 8가지 자연 성분을 담은 독자적인 포뮬러 그루트 솔루션™을 적용해 힘없는 모발을 뿌리부터 강화시켜 볼륨감을 살린다.
포미포미는 청아하고 순수한 이미지의 대세 아이돌 청하를 앞세워 자연 유래 성분의 착한 두피 케어 브랜드와 프리미엄 탈모 제품으로의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잦은 펌과 염색으로 손상된 머릿결을 가진 2030을 타깃으로 삼아 ‘청하 샴푸’로 어필하며 브랜드 입지를 넓히고 있다.
포미포미의 대표 제품인 ‘레드 푸드 스칼프 샴푸’는 석류와 자색 고구마, 팥, 대추 등 자연 유래 성분을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또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특허 기술을 적용하여 탈모로 고민하는 이들에게 솔루션이 될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두피·탈모 케어 브랜드들, 2030·여성 시장 놓고 격돌
기사입력:2020-01-16 08:56: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50,000 | ▼951,000 |
비트코인캐시 | 514,000 | ▼1,000 |
이더리움 | 2,610,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10 | ▼240 |
리플 | 3,109 | ▼25 |
이오스 | 988 | ▼7 |
퀀텀 | 2,967 | ▼3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59,000 | ▼821,000 |
이더리움 | 2,614,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90 | ▼180 |
메탈 | 1,139 | ▼12 |
리스크 | 721 | ▼8 |
리플 | 3,111 | ▼26 |
에이다 | 975 | ▼13 |
스팀 | 20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610,000 | ▼900,000 |
비트코인캐시 | 514,000 | ▼1,000 |
이더리움 | 2,610,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00 | ▼250 |
리플 | 3,112 | ▼26 |
퀀텀 | 2,978 | ▲11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