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유재수 감찰무마' 의혹에 대한 검찰의 신병처리 종착지가 사실상 구속영장 청구로 기울어지는 모양새다.
21일 검찰 등에 따르면 조 전 장관은 지난 16일과 18일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이정섭)에 출석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다. 조 전 장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조 전 장관의 영장청구에 대해 "아직 전혀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지만, 법조계에선 이르면 다음주 초 정도에 조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청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법조계에선 조 전 장관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 구성요건 성립 여부가 우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박 전 비서관과 백 전 비서관에 대한 입장은 그 다음 문제라는 것이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문제의 포인트는 감찰을 중단한 것이 직권남용죄가 되는지 여부"라며 "개인적 목적으로 결정한 것인지 정상적인 직무절차로 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 전 장관은 1차 조사에서 "유 전 부시장의 비위 감찰 중단 조치에 대한 최종 정무적 책임은 내게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무적 책임'이라는 표현을 쓴 것으로 봐서 감찰 중단에 대해 판단 착오였을 뿐, 법적 관점의 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해석된다.
조 전 장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이라는 직권을 남용해 감찰을 중단시켰는지 여부가 검찰 수사의 핵심인만큼 '정상적 권한' 범위 내에서 이뤄진 결정이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조 전 장관은 '박 전 비서관, 백 전 비서관과 함께 회의했고 권한 내에서 판단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장관은 2017년 당시 유 전 부시장의 뇌물수수 등 비위 의혹을 듣고 휴대전화 포렌식까지 직접 지시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감찰 중단을 명령했다.
이에 대해 조 전 장관은 지난해 말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해 "비위 첩보 자체에 대해선 근거가 약하다고 봤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검찰은 조 전 장관이 박 전 비서관, 이인걸 전 특별감찰반장 등에게 감찰 중단을 지시한 행위 자체가 직권남용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박 전 비서관은 검찰 조사에서 '조 전 장관이 주변에서 전화가 너무 많이 온다고 말하며 감찰 중단을 지시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보고라인은 '특감반원→이인걸 전 특감반장→박 전 비서관→조 민정수석'순이었다.
한 형사전문 변호사는 만약 유 전 부시장의 비위가 확실한데도 조 전 장관이 박 전 비서관 등의 의사를 무시한 일방적 지시로 감찰을 무마했다면 박 전 비서관은 직권남용의 공범이 아닌 직권남용을 당한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변호사는 "지금 감찰을 중단한 사람과 중단을 당한 사람이 누구인지가 중요하다"며 "박 전 비서관이 감찰을 하자고 했는데도 조 전 장관이 중단시켰다면 (박 전 비서관은) 직권남용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그냥 조 전 장관의 말을 듣고 중단시켰다고 하면 공범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변호사는 "만약 조 전 장관이 감찰중단을 지시했는데 그걸 백 전 비서관과 논의했다면 (직권남용의) 공범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조국, 신병처리 임박…구속영장 청구 될까?
기사입력:2019-12-21 14:26:4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75,000 | ▲585,000 |
| 비트코인캐시 | 759,500 | ▲2,000 |
| 이더리움 | 5,256,000 | ▲1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20 | ▲20 |
| 리플 | 3,770 | ▼9 |
| 퀀텀 | 2,872 | ▲2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884,000 | ▲583,000 |
| 이더리움 | 5,255,000 | ▲1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30 | ▲20 |
| 메탈 | 699 | 0 |
| 리스크 | 303 | ▲1 |
| 리플 | 3,769 | ▼10 |
| 에이다 | 868 | ▲1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00,000 | ▲4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500 |
| 이더리움 | 5,25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20 |
| 리플 | 3,771 | ▼7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17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