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정홍근 교수팀, 경거종골간 관절유합술 성공률 높여

기사입력:2019-12-19 18:25:28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홍근 교수. 사진=건국대병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홍근 교수. 사진=건국대병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건국대병원은 본원 소속 정형외과 정홍근 교수팀이 ‘유관나사를 이용한 경거종골간 관절유합술’을 시행 후 수술 례를 분석한 결과 90.6%의 높은 수술 성공률을 보였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골 결손이 심해 타가-대퇴골두 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들도 81.8%의 높은 골 유합율을 얻었다. 기존의 해외 논문 결과 보고는 50% 정도다.

건국대병원에 따르면 경거종골간 관절유합술은 경골-거골간 관절(발목 관절), 거골-종골간 관절(거골하관절)의 연골과 피질골을 제거한 후 각 관절을 압박, 고정해 원래 관절간의 골유합을 목표로 한다.

변형이 심한 발목 관절염, 골 결손이 심해 발목 인공관절수술이 어려운 환자, 인공관절수술이 실패한 경우 구제술로 사용된다. 소아마비나 신경 손상, 기타 원인으로 인한 발목과 발 변형을 바로잡기 위해 시행되기도 한다고 알려졌다.

정홍근 교수팀은 기존에 많이 사용되었던 금속정 대신 유관나사를 이용해 관절을 견고한 압박 고정을 얻었다. 골 결손이 심해 자가골 이식만으로 결손을 해결할 수 없어 타가골 이식을 진행한 경우에도 추후 적절하게 자가골 이식을 시행해 골 유합율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정홍근 교수는 “유관나사를 이용한 경거종골 유합술 이후 통증이나 기능 면에서 호전을 보인 환자들이 많고 환자 만족도도 좋았다”며 “특히 타가골 이식을 이용한 수술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수술이지만 기존 해외 연구보다 크게 골 유합율을 높였다”고 의의를 밝혔다.

정홍근 교수팀은 해당 연구 결과를 지난 10월 열린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54.47 ▲23.90
코스닥 803.67 ▼0.78
코스피200 439.81 ▲3.9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999,000 ▲149,000
비트코인캐시 783,000 ▲4,000
이더리움 5,274,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9,800 ▼30
리플 4,328 ▲11
퀀텀 3,01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926,000 ▲225,000
이더리움 5,269,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9,760 ▲20
메탈 1,048 ▲5
리스크 606 ▲3
리플 4,324 ▲8
에이다 1,081 ▲3
스팀 19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000,000 ▲190,000
비트코인캐시 783,000 ▲500
이더리움 5,27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730 ▼140
리플 4,327 ▲11
퀀텀 3,010 ▼18
이오타 277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