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대안신당 소속 박지원 전 대표는 김기현 전 울산시장 하명 수사 의혹에 대해서 “청와대의 시시콜콜한 해명이 오히려 의혹을 더 키우고 있다”며 “청와대가 민주당 대변인 노릇은 물론 당사자의 대변인을 자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전 대표는 12월 6일 아침 CBS-R <김현정의 뉴스쇼, ‘월간 박지원’>에 고정 출연해 “청와대는 검찰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서 모든 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하면 되는 것이지 수사 중인 사안에 대해 계속 발언과 해명을 해 사태를 꼬이게 하는지 참 서투르다”며 “이제 좀 그만 발언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가 자체 조사를 했다면 설명도 해야 하지만 내부의 대처방안으로 참고하면 되는 것이지, 청와대가 몇 번씩 발표하고 그 내용도 보도를 보면 당사자들의 발표와도 다르다”며 “야당이 볼 때는 검찰에게는 피의사실을 공표하지 말라고 하지만 청와대는 다 발표하고, 검찰 수사에 가이드라인을 준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 ‘청검, 민검 전쟁’, 즉 청와대와 검찰, 민주당과 검찰이 진검 승부를 하고 있는데 검찰은 문재인 정부의 기관이 아니냐”며 “국민이 보기에 이러한 모습이 결코 편하게 보지 않는다”고 했다.
박 전 대표는 ‘청와대는 가짜 뉴스가 너무 많아서 대응하는 것이라고 한다’는 진행자의 질문에 “가짜 뉴스는 수사로 밝혀야지 청와대가 발표한다고 과연 믿느냐”며 “저는 문재인 정부 성공을 위해 지금까지 협조해 왔고 진보정권 재창출에도 함께 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청와대의 시시콜콜 발표를 진보 언론까지도 지적하고 있고, 이러한 서투른 모습이 ‘타는 불에 기름을 붓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추미애 전 대표를 법무부장관에 지명한 것은 검찰개혁에 대한 문 재인 대통령의 강한 의지를 표현한 것이고, 추 후보자도 판사 출신, 5선 의원, 당 대표를 역임하신 분으로 검찰개혁, 사법개혁을 잘 하실 것”이라며 “제가 포스트 조국은 조 전 장관보다 더 센 조국 2가 올 것이라고 한 것처럼 타협하지 않고 고집스럽게 개혁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 후보자가 윤석열 총장과의 호흡을 묻는 언론에 대해서 그러한 것은 중요치 않다고 했는데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이 바로 추 후보자스타일”이라며 “검찰, 사법개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고 그러한 발언을 계속 해 오신 분으로서 앞으로도 타협 보다는 원리 원칙에 입각한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말씀이고, 이 과정에서 검찰과 국회와도 충돌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예상했다.
박 전 대표는 “추 후보자가 임명되어 현재의 청검, 민검 전쟁의 꼬인 실타래를 잘 풀어내는 능력도 보인다면 국민에게 신뢰 받는 정치인으로 더욱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언론에서는 인사권을 통해 윤석열 검찰을 견제, 장악하려고 한다고도 전망하지만 추 후보자가 장관이 되어서 검찰과 잘 소통해 외압 없이 수사를 잘 할 수 있도록 외풍도 막아주고, 인사도 검찰총장과 협의해 좋은 인사를 하는 것이 국가는 물론, 본인, 그리고 대통령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나경원 원내대표가 사실상 경질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황교안 대표의 단식은 국가가 아니라 자신의 대표 자리를 지키기 위해 한 것으로 친황 체제구축에는 성공했다”며 “그러나 국민과 정치권 전체의 지지를 받는 데에는 실패했고 원내 대표 경선으로 이슈가 그 쪽으로 빨려 들어가겠지만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박지원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 시시콜콜 해명, 의혹 더 키워"
"야당, 검찰에는 피의사실 공표 금지시키고, 청와대는 수사 가이드라인 제시한다는 오해와 비판" 기사입력:2019-12-06 11:07: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75,000 | ▲585,000 |
| 비트코인캐시 | 759,500 | ▲2,000 |
| 이더리움 | 5,256,000 | ▲1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20 | ▲20 |
| 리플 | 3,770 | ▼9 |
| 퀀텀 | 2,872 | ▲2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884,000 | ▲583,000 |
| 이더리움 | 5,255,000 | ▲1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30 | ▲20 |
| 메탈 | 699 | 0 |
| 리스크 | 303 | ▲1 |
| 리플 | 3,769 | ▼10 |
| 에이다 | 868 | ▲1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00,000 | ▲4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500 |
| 이더리움 | 5,25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20 |
| 리플 | 3,771 | ▼7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17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