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LG U+이동통신사에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과다 사용 유도하기 위해 야한동영상 링크를 문자로 발송한 사실이 드러났다. 대리점주 제보에 의하면, 서울의 본사 직영대리점에서는 신규 가입 후, 고가 요금제를 유지하는 3개월 동안 수도권 가입자 최소 1000명 이상에게 야한 동영상을 문자로 보내 데이터를 사용하게 했다. 그 후 데이터 소비량이 많아 요금제를 낮추면 더 큰 피해를 보는 것처럼 유도해 고가요금제를 유인하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68 또는 59 요금제(6만8천원/월 또는 5만9천원/월)에서 야동마케팅 통해 88 요금제(8만8천원/월)를 유도했다는 얘기다.
이에 바른미래당 하태경(부산 해운대구 갑)의원 은 “야동마케팅으로 데이터 요금 폭탄을 조장해 국민들에게 바가지를 씌운 통신사의 불법영업 행위는 처벌받아야 한다”며 검찰과 공정위에서 철저히 수사할 것을 촉구했다.
더구나 제보자의 의하면 본사에서는 이러한 야동마케팅을 실행한 지점을 우수사례로 뽑아 해당 점장에게 최소 수백만원의 보너스까지 챙겨주었다. 뿐만 아니라 모두가 선망하는 본사 사무직 직원으로 승진할 수 있는 기회까지 준 것으로 드러났다고 했다.
또한 녹취록에 따르면 LG U+ 경북지점에서는 동대구, 경주 ,포항을 관리하던 본사 총책임자(지점장)가 가맹점주 교육 시 야동마케팅으로 고객들을 유인하도록 지시·권장한 사실이 밝혀졌다.
대리점 대표들이 의무적으로 숙지해야 하는 직원교육 자료에는 고객에게 성인물을 권장하는 내용과 사진이 적나라하게 나와 있고 고객유인의 주요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었다. 제보자에 의하면 야동영상을 신규고객들에게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 데이터 요금폭탄을 유도했다고 한다.
본사는 각 지역 대리점 대표에게 강압적으로 고가 요금제 방침을 요구하며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강제교육과 영업정지 협박도 가했다. 계속되는 본사의 강압적인 실적 압박으로 스트레스, 우울감등 심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점주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하태경 의원은 “음란물을 유포해 수익을 올리는 것은 음란물 유포죄 및 공정거래법위반 행위이기에 검찰에서 철저히 수사하여 책임자를 처벌하고 국민들이 요금폭탄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며 “공정위는 전국 LG U+ 대리점에 대한 전수조사도 바로 실시할 것을 촉구한다” 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엘지유플러스 측은 "직영대리점이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특정 콘텐츠를 이용한 마케팅을 진행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VR서비스 교육자료는 스타아이돌, 영화/공연, 여행/힐링, 게임, 웹툰, 성인 등 6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성인’ 부분만 발췌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부분은 전체 50페이지 자료 중 1페이지이다"며 "다만 경북지점 가맹점주 교육 녹취록에서 에피소드로 언급된 부분은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실을 바꿔 설명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하태경의원 "야동마케팅으로 어르신들 요금폭탄 맞게 한 이동통신사…검찰 수사해서 책임 물어야"
엘지유플러스측 "특정콘텐츠 이용 마케팅 사실아니다" 기사입력:2019-11-29 15:05:2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27,000 | ▲527,000 |
| 비트코인캐시 | 760,500 | ▲3,000 |
| 이더리움 | 5,251,000 | ▲13,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10 | ▲10 |
| 리플 | 3,761 | ▼20 |
| 퀀텀 | 2,860 | ▲8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908,000 | ▲607,000 |
| 이더리움 | 5,257,000 | ▲1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00 | ▲30 |
| 메탈 | 697 | ▲3 |
| 리스크 | 303 | ▲1 |
| 리플 | 3,759 | ▼21 |
| 에이다 | 867 | 0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40,000 | ▲50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500 |
| 이더리움 | 5,25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20 |
| 리플 | 3,758 | ▼24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17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