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재호 의원(경기고양을)이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미성년자(만 0세~18세) 보유 상장회사 주식 및 배당금 현황(2018년 12월말 결산기준)’자료에 따르면, 미성년자 주주들은 786개 상장회사에 대한 주식 6,309만여 주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2018년 말 기준으로 총 평가액은 약 5,760억 원, 이에 따른 배당액은 6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액을 기준으로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미취학아동인 만 0세에서 6세가 921억 원, 초등학생인 만 7세에서 12세가 1,766억 원, 중고등학생인 만 13세에서 18세가 3,072억 원이었으며, 배당금은 각각 9.5억, 21.1억, 37.2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배당금만으로 1억 이상을 수취한 미성년자는 4명으로 만 14세 주주와 만 15세 주주 2명이 시가 39,950원의 유가증권 ‘예스코홀딩스’ 보통주를 각각 75,310개씩 소유해 배당금을 약 1억 1,300만원씩 수령했다. 만 16세 주주 1인은 코스닥시장에서 시가 5,700원의 ‘에이피티씨’ 보통주를 52만 5천개 소유해 1억 500만원의 배당을, 만 17세 주주 1인은 시가 26만원의 ‘SK’ 보통주를 66,666개 소유해 배당금 2억 6,700만원 가량을 챙겼다.
미성년자 배당액이 가장 높은 회사는 삼성전자로 이 회사의 미성년자 주주들은 한 해 약 7억 원(6억 9,250만 원) 가까이 배당을 받았다. 이어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약 4억 9,500만원, SK 3억 4,200만원, 예스코홀딩스 2억 4,300만원, 삼성물산(구.제일모직) 2억 3,500만원 순으로 높은 배당액을 기록했다.
미성년자 보유주식 중 평가액이 가장 큰 종목은 삼성전자(소유주식수 합계 195만 여 개)로 757억에 달했다. 태어나자마자 주식을 보유한 만0세 주주들이 가진 주식 중 평가금액이 제일 큰 종목 역시 삼성전자로 281명의 만0세 주주들이 1만 8천여 개를 소유해 평가금액이 7억 원 가량 되었다.
심지어 만0세 주주의 총 보유주식수는 12만여개로 평가액은 20억여원을 상회했다.
미성년자들이 보유한 주식이 총 발행주식수의 5%가 넘는 경우도 꽤 많았다. 서울제약의 경우 총 발행주식 848만 개 중 약 12%에 달하는 101만 개를, 보광산업의 경우 총 발행주식 3,447만 개 중 약 8%에 달하는 271만개를 미성년자들이 보유하고 있었다.
정재호 의원은 “미취학아동이 보유한 주식이 920억이 넘는 등 주식을 통한 부의 세습이 어마어마하다”며, “상속과 증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중 배당금만으로 1억 이상을 수취한 미성년자는 4명으로 만 14세 주주와 만 15세 주주 2명이 시가 39,950원의 유가증권 ‘예스코홀딩스’ 보통주를 각각 75,310개씩 소유해 배당금을 약 1억 1,300만원씩 수령했다. 만 16세 주주 1인은 코스닥시장에서 시가 5,700원의 ‘에이피티씨’ 보통주를 52만 5천개 소유해 1억 500만원의 배당을, 만 17세 주주 1인은 시가 26만원의 ‘SK’ 보통주를 66,666개 소유해 배당금 2억 6,700만원 가량을 챙겼다.
미성년자 배당액이 가장 높은 회사는 삼성전자로 이 회사의 미성년자 주주들은 한 해 약 7억 원(6억 9,250만 원) 가까이 배당을 받았다. 이어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약 4억 9,500만원, SK 3억 4,200만원, 예스코홀딩스 2억 4,300만원, 삼성물산(구.제일모직) 2억 3,500만원 순으로 높은 배당액을 기록했다.
미성년자 보유주식 중 평가액이 가장 큰 종목은 삼성전자(소유주식수 합계 195만 여 개)로 757억에 달했다. 태어나자마자 주식을 보유한 만0세 주주들이 가진 주식 중 평가금액이 제일 큰 종목 역시 삼성전자로 281명의 만0세 주주들이 1만 8천여 개를 소유해 평가금액이 7억 원 가량 되었다.
심지어 만0세 주주의 총 보유주식수는 12만여개로 평가액은 20억여원을 상회했다.
미성년자들이 보유한 주식이 총 발행주식수의 5%가 넘는 경우도 꽤 많았다. 서울제약의 경우 총 발행주식 848만 개 중 약 12%에 달하는 101만 개를, 보광산업의 경우 총 발행주식 3,447만 개 중 약 8%에 달하는 271만개를 미성년자들이 보유하고 있었다.
정재호 의원은 “미취학아동이 보유한 주식이 920억이 넘는 등 주식을 통한 부의 세습이 어마어마하다”며, “상속과 증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미성년자 보유주식 1위는 삼성전자…한 해 배당만 7억
기사입력:2019-10-04 08:11:0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60,000 | ▲259,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3,500 |
이더리움 | 2,607,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30 | ▲80 |
리플 | 3,187 | ▲13 |
이오스 | 972 | ▲5 |
퀀텀 | 3,121 | ▲3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07,000 | ▲282,000 |
이더리움 | 2,611,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120 |
메탈 | 1,208 | ▲6 |
리스크 | 792 | ▲6 |
리플 | 3,190 | ▲16 |
에이다 | 999 | ▲10 |
스팀 | 21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10,000 | ▲210,000 |
비트코인캐시 | 531,500 | ▲1,500 |
이더리움 | 2,61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50 | ▲130 |
리플 | 3,189 | ▲16 |
퀀텀 | 3,102 | ▲37 |
이오타 | 296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