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원자력발전소 지상 핵저장시설 드론 공격 취약"

2016년이후 원전 상공에서 10회 적발, 올해에만 7회 기사입력:2019-09-29 09:23:40
최인호 국회의원.(사진제공=최인호의원실)

최인호 국회의원.(사진제공=최인호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원자력발전소 상공에서 올해에만 7차례 불법비행 드론이 적발돼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등 원자력발전소가 드론 테러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광경찰서에 의하면 지난 25일 한빛원전 인근 백수해안도로에서 드론 신고가 들어와 수사했다고 전했다. ‘2018 영광 국제 스마트 e모빌리티 엑스포(10.11~10.14)’에 참여한 한 업체가 행사촬영을 위해 드론을 날렸다가 적발된 것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최인호(부산사하갑)의원이 한수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이후 현재까지 원자력발전소 인근 상공에서 드론 불법비행이 적발된 건수는 총 10회이다.

2016년 고리원전 1회, 2017년 한빛원전 1회, 새울원전 1회, 2019년 고리·새울원전 4회, 한빛원전 2회, 한울원전 1회 적발됐다. 이중 2건은 과태료를 부과했고, 6건은 관할 경찰서에서 수사를 진행중이나 2건은 조종자를 찾지 못했다.

항공안전법에 따르면 1급 국가보안시설인 원자력발전소 인근 상공은 반경 18km까지 드론 비행이 금지된다. 국토부 승인없이 이 안에서 드론을 날리다 적발되면 벌금이나 과태료 처분을 받는다.

25kg이하 드론의 경우 과태료 최고금액은 200만원이나 1회 위반시에는 30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 실제 한빛원전과 고리원전에서 적발된 조종자는 20만원과 25만원 과태료를 처분받았다.

원자력발전소 드론 불법비행 적발현항.(표제공=최의호의원실)

원자력발전소 드론 불법비행 적발현항.(표제공=최의호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1983년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 월성원전에는 원자로를 보호하는 격납건물 외에도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는 건식저장시설(캐니스터, 맥스터)이 있는데 2019년 6월말 기준 96% 포화상태이다.

특히, 지상에 노출돼 있는 원통형의 캐니스터 저장시설은 준공후 28년 경과됐으며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 염해로 인해 내구성이 약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최 의원은 지적했다.

최인호 국회의원은 “1급 국가보안시설인 원전 인근 상공에서 드론을 날리다 적발돼도 과태료 기준이 너무 낮아 불법행위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다”며 “비행제한 구역을 현실적으로 조정하고, 과태료를 상향해 국가보안시설에 대한 안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73.24 ▲119.48
코스닥 888.35 ▲11.54
코스피200 575.31 ▲17.3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614,000 ▲371,000
비트코인캐시 757,000 ▲1,500
이더리움 5,261,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90 ▲130
리플 3,768 ▲1
퀀텀 2,870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699,000 ▲390,000
이더리움 5,263,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4,150 ▲190
메탈 701 ▲7
리스크 305 ▲1
리플 3,767 ▼2
에이다 873 ▲7
스팀 12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6,520,000 ▲420,000
비트코인캐시 756,000 ▲2,000
이더리움 5,25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4,120 ▲150
리플 3,764 ▼7
퀀텀 2,849 0
이오타 218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