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이성근 교수 연구팀이 서해 해수에서 지구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고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분리에 성공했으며, 해양 고세균과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밝혔다.
지구상에 가장 많은 3대 미생물 중 하나는 고세균이다. 열수구, 유황 온천 등 극한 환경부터 일반 환경까지 다양한 곳에 서식한다. 특히 해양 생태계 전체 미생물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양에서의 탄소 및 질소 순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해양 환경에서 중요 기능을 하는 미생물을 연구하기 위하여, 최근 이들의 군집과 활성을 조절하는 바이러스의 존재가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해양 고새균의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유전자만 보고되었을 뿐, 바이러스의 실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연구팀은 서해 해수에서 특정 계절에 특이적으로 고세균의 개체수가 증가한 것을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이 지역 해수로부터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연구결과, 해양 고세균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질소의 산화작용이 멈추고, 유기물이나 비타민 B12 등을 방출한다. 특히 숙주세포를 용해시켜 방출되는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이 바이러스가 증식하면 마치 혹처럼 튀어나와 분리되는 '출아법'으로 방출되는 것도 밝혀졌다.
이성근 교수는 "해양에서 우점하고 있는 고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발견을 통해 지구의 물질 순환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하며, "극한 환경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방추사 형태의 바이러스를 발견함으로써, 향후 기후변화 예측에도 선도적으로 기여할 것이다"라고 기대를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과기정통부, 해양 고세균 감염 바이러스 발견
기사입력:2019-07-16 18:23:1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600,000 | ▲239,000 |
비트코인캐시 | 705,000 | ▲5,000 |
이더리움 | 4,023,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030 | ▲50 |
리플 | 3,805 | ▲52 |
퀀텀 | 3,076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697,000 | ▲278,000 |
이더리움 | 4,02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060 | ▲60 |
메탈 | 1,076 | ▼16 |
리스크 | 602 | ▼7 |
리플 | 3,803 | ▲50 |
에이다 | 983 | ▲14 |
스팀 | 19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60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704,500 | ▲4,500 |
이더리움 | 4,020,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020 | ▲50 |
리플 | 3,806 | ▲55 |
퀀텀 | 3,115 | 0 |
이오타 | 256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