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식도암 고 선량 방사선치료, 저 선량에 비해 치료 효과 높고 부작용 차이 없어

강남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준원 교수팀 경부식도암 1기~3기 환자 대상, 방사선량에 따른 치료 결과 비교 기사입력:2019-05-09 23:44:19
[로이슈 임한희 기자] 경부식도암의 고 선량 방사선 치료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준원 교수 연구팀은 경부식도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79명의 선량에 따른 치료 효과 및 부작용 발생률을 분석해 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1기에서 3기까지의 경부식도암 환자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자 79명 중 44명은 59.4 Gy 이상의 고 선량 치료를 받았고 35명은 59.4 Gy 미만의 저 선량 치료를 받았다.

분석 결과 3년 생존율은 고 선량군이 58.4%로 저 선량군 49.1% 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국소 억제율은 저 선량군이 45.3%인 것에 비해 고 선량군이 70.4%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인 식도협착과 기관식도루 발생률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부식도암의 고 선량 방사선 치료가 저 선량 치료보다 더 효과적이면서 부작용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식도암의 방사선 치료는 20년 전 연구에서 50 Gy가 표준선량으로 정해진 뒤 바뀌지 않고 있다. 하지만 경부식도는 후두 및 하인두에 가까워 근치적 수술이 어렵기 때문에 항암화학‧방사선 동시 치료가 표준 치료이고 고선량의 방사선 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림1> 선량 군에 따른 전체 생존율(OS) 및 국소지역 억제율(LRC) 비교

<그림1> 선량 군에 따른 전체 생존율(OS) 및 국소지역 억제율(LRC) 비교

이미지 확대보기


김준원 교수는 “경부식도는 방사선에 민감한 폐를 피해 비교적 안전하게 고 선량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지만 방사선치료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아 표준선량이 50 Gy로 묶여 있었다”라면서 “고 선량 방사선 치료의 안전성과 우수한 치료 효과가 밝혀진 만큼 향후임상 치료에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두경부 저널(Head Neck)’ 최근호에 게재됐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66.34 ▲112.58
코스닥 881.91 ▲5.10
코스피200 575.13 ▲17.1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620,000 ▲735,000
비트코인캐시 753,000 ▲4,500
이더리움 5,40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250 ▲140
리플 3,614 ▲61
퀀텀 2,913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800,000 ▲845,000
이더리움 5,408,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250 ▲190
메탈 699 ▲4
리스크 308 ▲3
리플 3,614 ▲61
에이다 872 ▲5
스팀 12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610,000 ▲660,000
비트코인캐시 753,500 ▲4,500
이더리움 5,41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260 ▲240
리플 3,625 ▲71
퀀텀 2,880 0
이오타 21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