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KOTRA(사장 권평오)는 24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CIS(독립국가연합) 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무역관장회의)를 개최했다. 올해 마지막 무역관장 회의를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과 연계 개최하면서, 시장특성 및 경제협력수요 맞춤형 진출 전략을 수립해 신북방시장을 올해 수출활력제고의 주요 무대로 삼기로 했다.
잠재력에 비해 교역규모가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경제협력 확대에 대한 양측의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CIS 맹주 러시아의 경우 수교 30주년이 되고 한-러 서비스·투자 FTA 협상 완료를 목표로 하는 2020년까지 교역액 300억 달러 달성(2018년 248억 달러)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난 2월에는 제3차 ‘한국 투자자의 날’이 러시아 극동담당 부총리가 직접 참석한 가운데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되기도 했다.
특히 3월에만 전년 동기대비 32.6% 증가(11.5억 달러)하는 등 최근 대(對) CIS 수출이 9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기계(현지 대형 프로젝트 시행), 車(한국 브랜드 선호), 철강(러시아 건설경기 회복세) 등 주력품목 뿐만 아니라 화장품(2월까지 88.5%↑) 등 유망소비재에 대한 반응도 뜨거워지고 있다.
KOTRA는 이러한 분위기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올해 CIS 지역에서는 ▲ (수출 10% 확대) 지역별 특성화로 CIS 맞춤형 진출전략 추진 ▲ (경제협력 강화) 신북방정책 3년차에 걸맞은 경협 프로젝트 추진에 주안점을 두기로 했다.
CIS 지역은 광활하고 경제 수준 및 인구 분포의 차등이 심하다는 점을 고려해, 올해 처음으로 7개 산업 및 분야*를 정하고 무역관별로 차별화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먼저 농업분야의 경우, 현지 농산업 개발 수요에 부응해 ‘한-CIS 농업협력 포럼 및 비즈니스 상담회(모스크바)’, ‘테스트베드(시범포) 연계 스마트팜 패키지 시연회(알마티)’ 등 스마트팜, 재배시설 등의 진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러시아는 서방과의 갈등으로 2014년부터 유럽산 식품 수입을 금지함에 따라 자체적인 농업 생산시설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앙아시아 지역은 농업 환경에 비해 인프라가 부족해 관련 산업의 발전에 힘을 쏟고 있다.
소비재의 경우에는 수입의존도가 높고 국제 원자재 가격 회복에 따른 경기 회복세에 따라 전 무역관에서 마케팅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국내 대기업 협력사의 대중소 동반진출 사업인 ‘코리아 브랜드엑스포(모스크바)’을 개최하고, 글로벌 유통망인 ‘왓슨스(Watsons) 협업 소비재 진출 사업(상트페테르부르크)’도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 3월 타슈켄트 플랜트 수주지원센터 개소 계기 중앙아시아 유망 프로젝트 심층 발굴, 러시아 20대 수입대체화 품목 위주 현지 밸류체인 분석을 통한 한-러 기술협력 강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신북방정책 3년차를 맞아 이번 문재인 대통령의 순방을 계기로 주목을 받고 있는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신북방 경제협력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도록 유망분야 및 진출기반 구축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이나 유휴설비 이전 등 중소중견기업의 저비용-고효율 투자진출을 위한 산업협력형 사업과 의료‧보건, ICT(스마트시티) 등 현지의 니즈와 우리의 강점을 결합할 수 있는 분야 등을 적극 개발할 계획이다.
극동러시아의 경우도 농수산물, 임업 등 천연자원 가공 분야뿐만 아니라 제조업 전환 및 현대화 수요를 지속 발굴해 우리 제조 기업이 현지 공동 생산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ODA 중점협력국인 몽골,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은 정부 및 유관기관과의 긴밀할 협력을 바탕으로 정보수집, 네트워크 구축, 타당성 조사, 입찰지원 등 프로젝트 프로세스 위주로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CIS지역을 끝으로 통상 6~7월까지 이어지는 전 세계 10개 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조기에 마무리하면서 “해외 현장에서 포착한 수출 10% 플러스 전략을 바탕으로 연내 성과창출에 전사적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KOTRA, CIS지역 무역관장회의 개최
기사입력:2019-04-25 08:42:1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891,000 | ▲151,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5,000 |
이더리움 | 2,616,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20 | ▲70 |
리플 | 3,138 | ▼10 |
이오스 | 1,065 | ▲8 |
퀀텀 | 3,071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000,000 | ▲239,000 |
이더리움 | 2,618,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70 | ▲100 |
메탈 | 1,160 | ▼3 |
리스크 | 763 | ▼3 |
리플 | 3,142 | ▼7 |
에이다 | 1,024 | ▼3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90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525,500 | ▲3,000 |
이더리움 | 2,616,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10 | ▲80 |
리플 | 3,140 | ▼7 |
퀀텀 | 3,029 | ▼36 |
이오타 | 29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