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당뇨병 환자는 면역력이 저하돼 다른 질환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8일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남지선, 김정혜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 몸의 면역을 담당하는 NK(Natural Killer, 자연살상)세포 활성도를 측정해 제 2형 당뇨병(성인형 당뇨병) 환자의 면역력 저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정상 혈당군 13명, 당뇨 전단계 15명, 2형 당뇨병 환자 21명의 혈액 속 NK세포 활성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 당뇨 환자의 NK 세포 활성도는 768.01로 정상 혈당군( 2435.31)과 당뇨 전단계 군(2396.08)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정상 혈당군과 당뇨 전단계 군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1형 당뇨병과 인슐린은 정상적으로 분비되지만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인슐린이 작용하지 않아 발생하는 2형 당뇨병으로 나뉜다. 2형 당뇨병이 대부분(90% 이상)을 차지한다.
만성적인 혈관 손상으로 인해 심뇌혈관, 신장, 망막, 말초 신경 등에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면역 체계의 교란 또한 합병증 중 하나로 지적돼 왔다. 그러나 실제로 당뇨병 환자의 면역력이 얼마나 저하돼 있는지를 수치로 확인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안철우 교수는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기나 폐렴 같은 감염성 질환이나 암 등 인체에 치명적인 질환들이 동반되기 쉽다.”라면서 “당뇨병 환자의 면역력 감소가 당뇨 망막병증, 신장질환, 죽상경화증을 통한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에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환자의 면역력을 높인다면 향후 당뇨병의 합병증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당뇨병연구저널(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최근호에 게재됐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강남세브란스병원 안철우 교수팀, NK 세포 활성도 측정..."당뇨병 환자, 면역력 저하 주의"
기사입력:2019-04-18 01:34:1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2.84 | ▲119.08 |
| 코스닥 | 884.73 | ▲7.92 |
| 코스피200 | 575.68 | ▲17.70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360,000 | ▼11,000 |
| 비트코인캐시 | 749,000 | ▲500 |
| 이더리움 | 5,370,000 | ▼18,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170 | ▼100 |
| 리플 | 3,654 | ▲34 |
| 퀀텀 | 2,910 | ▼1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475,000 | ▲61,000 |
| 이더리움 | 5,374,000 | ▼2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150 | ▼50 |
| 메탈 | 695 | ▼5 |
| 리스크 | 308 | 0 |
| 리플 | 3,663 | ▲44 |
| 에이다 | 873 | ▲3 |
| 스팀 | 127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300,000 | ▼90,000 |
| 비트코인캐시 | 750,000 | 0 |
| 이더리움 | 5,365,000 | ▼2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220 | ▲60 |
| 리플 | 3,656 | ▲37 |
| 퀀텀 | 2,902 | 0 |
| 이오타 | 213 |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