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남 양산을, 기획재정위원회)이 OECD(경제개발협력기구)의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이직률이 가장 높고 근로자(1년이상 근속 기준)가 해고되는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고 이후 1년 이내 재취업률은 절반에 못 미쳐,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재취업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재취업을 위한 기간 중 소득상실에 대한 사회 안전망이 절실하게 필요하지만, 실업자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실업급여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에 따르면, OECD국가별 이직률은 한국이 31.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용유연성이 높은 미국(19.7%), 호주(19.2%) 등보다 높고, OECD평균(16.9%)를 넘어선다. 또한 1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가 해고되는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용불안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해고 이후 1년 이내 재취업률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1년 이내 재취업률은 50%미만(2003~2008년), 40%미만(2009~2010년)대로 다른 OECD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고,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다른 OECD국가에 비해 재취업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소득상실 우려가 큰 재취업 기간 중 소득보장을 위한 사회 안전망 확충이 요구된다.
그러나 'OECD Employment Outlook 2018'에서 산출하는 ‘유사 적용률’(pseudo-coverage rate)*에 따르면, 한국은 2007년 30.6%에서 2014년 38.4%로 개선되었지만 OECD평균(58.6%)에 한참 미치지 못했다.
아울러 평균 근로소득 대비 실업급여 수준을 측정하는 ‘순소득 대체율’(net replacement rate, NPR)은 2014년 기준 OECD국가 평균(28%)보다 낮은 10%(실직 후 5년 평균)를 나타냈고, 실직 후 1년 평균(31%)이나 초기 대체율(50%)도 OECD평균인 각각 53% 및 64%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실업급여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기간이 매우 짧기 때문이다.
이에 서 의원은 “OECD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이직률은 높은 반면 재취업 과정의 소득상실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이 드러났다”고 평가하고, “실업급여 수준과 기간 등 제도적 보완과 함께 실업부조 도입을 통해 다층적 사회안전망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한국, OECD 국가 중‘이직률’ 최대…실직 후 재취업은 저조
기사입력:2019-01-23 08:14:4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8.21 | ▼8.17 |
코스닥 | 815.07 | ▲2.84 |
코스피200 | 429.60 | ▼1.5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600,000 | ▲753,000 |
비트코인캐시 | 674,000 | ▲3,000 |
이더리움 | 4,567,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740 | ▲60 |
리플 | 4,140 | ▲24 |
퀀텀 | 3,148 | ▲1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749,000 | ▲663,000 |
이더리움 | 4,567,000 | ▲2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740 | ▲50 |
메탈 | 1,093 | ▲5 |
리스크 | 629 | ▲4 |
리플 | 4,145 | ▲25 |
에이다 | 1,025 | ▲4 |
스팀 | 20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600,000 | ▲530,000 |
비트코인캐시 | 674,500 | ▲3,500 |
이더리움 | 4,569,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00 | ▲140 |
리플 | 4,145 | ▲33 |
퀀텀 | 3,170 | ▼6 |
이오타 | 30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