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인태반가수분해물 ‘라이넥’ 투여 시 간 기능 개선의 작용원리에 대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 전문회사인 GC녹십자웰빙(대표 유영효)은 ‘라이넥’의 작용원리를 확인한 논문이 SCI급 국제학술지인 ‘국제 분자의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24일 밝혔다.
‘라이넥’는 만성 간질환에서의 간 기능 개선으로 허가된 주사제로, ‘라이넥’의 효능 작용원리를 확인한 연구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는 ‘라이넥’를 주입한 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실험군에 간세포의 생존률과 자살비율을 비교 분석하는 동물 실험을 통해 이뤄졌다. 그 결과, ‘라이넥’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약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간세포의 생존률은 약 25% 증가하고, 세포 자살비율은 약 66%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세포의 손상을 야기한 부분의 분석에서 ‘라이넥’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간의 미토콘드리아 양이 대조군에 비해 25% 이상 많음을 확인했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 몸의 영양분을 에너지원으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하는 세포 내 소기관이다.
연구에 참여한 부천성모병원 내과 김태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의 ‘라이넥’의 간 기능 개선효과에 대해 새로운 매커니즘을 확인하여 지속적인 ‘라이넥’의 만성 간질환 환자 치료 임상에 더욱 확신을 갖게 되었다”며 “향후 만성 간질환 환자와 같은 간 기능 개선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월에는 ‘라이넥’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확인한 논문이 SCI급 국제학술지인 ‘BMC 보완대체의학(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실린 바 있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GC녹십자웰빙, ‘라이넥’ 간 기능 개선 작용원리 논문 국제학술지에 게재
기사입력:2018-10-25 00:37: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355,000 | ▼39,000 |
비트코인캐시 | 820,000 | ▼1,500 |
이더리움 | 6,329,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800 | ▲30 |
리플 | 4,232 | ▼6 |
퀀텀 | 3,605 | ▲2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392,000 | ▲78,000 |
이더리움 | 6,325,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790 | ▲10 |
메탈 | 999 | ▲1 |
리스크 | 527 | ▲3 |
리플 | 4,236 | ▼4 |
에이다 | 1,242 | ▲4 |
스팀 | 18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34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818,500 | ▼4,000 |
이더리움 | 6,32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760 | ▲40 |
리플 | 4,233 | ▼5 |
퀀텀 | 3,604 | ▲19 |
이오타 | 27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