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최근 일부 대학 교수들이 자신의 자녀들의 이름을 연구 논문의 공저자에 올리는 등 연구부정행위가 교육부로부터 적발돼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의 연구부정행위 방지 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오영훈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을)은 지난 23일 ‘학술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법안의 주요 내용에는 △선언적 규정에 그치고 있는 현행 대학별 연구부정행위 방지 및 검증 조치 구체화 △연구개발결과 위‧변조 및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 타인의 연구개발 결과 표절, 부당한 중복게재 등 대학별 조치대상이 되는 연구부정행위 명시 △대학별 연구부정행위 검증결과 교육부장관 제출 및 관계기관 통보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제재 강화 등이 포함됐다.
현행 대학별 연구부정행위 방지 관련 규정은 ‘학술진흥법’제15조제3항에‘교육부장관으로부터 사업비의 지원을 받은 대학 등은 연구윤리지침에 따라 연구부정행위의 방지 및 검증을 위한 자체 연구윤리규정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는 것에 그치고 있다.
때문에 대학별 연구부정행위 방지 및 검증 대상이 모호하고, 선언적 규정에 머물러 그동안 대학들이 자체 연구부정행위 방지 및 검증 활동에 소극적으로 임해 거의 실적이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
여기에 대학이 연구부정행위를 검증하더라도 자체 징계는 솜방망이에 그쳐 실효성이 떨어지고, 연구비를 지원받은 타 부처나 기관의 제재로 이어지지 않아 제대로 된 대학별 연구부정행위 방지 및 검증 활동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개정안에 ‘대학 등은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검증결과 제3항 각 호의 어느 하나의 행위로 판정하는 경우에는 판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그 결과를 교육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안 제15조제4항) 및 ‘교육부장관은 제4항에 따라 대학 등으로부터 받은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검증결과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안 제15조제5항)는 조항을 신설했다.
한편, 개정안은 대학별로 조치가 필요한 연구부정행위를 다섯 가지로 명시하고 동시에 학술지원 대상 선정 제외 기간을 최대 10년까지 확대하는 등 제재를 강화하는 내용도 담겨있다.
오영훈 의원은 “최근 자신의 자녀들을 위한 일부 교수들의 부당한 저자 표시 등 연구부정 행위가 대거 적발된 것은 대학내 자정 기능이 거의 마비되었음을 드러낸 부끄러운 현실”이라고 지적하고 “많은 연구개발결과를 연구비를 지원하는 부처나 기관에서 일일이 검증할 수 없는 만큼, 대학의 자정 능력을 강화해야 연구부정행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공정한 학문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학술진흥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기자 sisalaw@lawissue.co.kr
[입법] 오영훈, 대학 연구부정행위 방지 강화 법안 제출
학술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기사입력:2018-03-27 17:50:0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58.19 | ▲84.95 |
| 코스닥 | 895.76 | ▲7.41 |
| 코스피200 | 589.66 | ▲14.35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903,000 | ▲1,200,000 |
| 비트코인캐시 | 775,000 | ▲4,500 |
| 이더리움 | 5,338,000 | ▲6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500 | ▲260 |
| 리플 | 3,770 | ▲34 |
| 퀀텀 | 2,885 | ▲29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916,000 | ▲1,168,000 |
| 이더리움 | 5,341,000 | ▲6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490 | ▲270 |
| 메탈 | 699 | ▼11 |
| 리스크 | 352 | ▼10 |
| 리플 | 3,768 | ▲31 |
| 에이다 | 883 | ▲12 |
| 스팀 | 127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840,000 | ▲1,200,000 |
| 비트코인캐시 | 774,500 | ▲3,500 |
| 이더리움 | 5,330,000 | ▲5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490 | ▲240 |
| 리플 | 3,766 | ▲33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24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