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가뭄으로 일부 하천수ㆍ농업용수에서도 노로바이러스 검출

충북대 김광엽 교수팀, 농산물ㆍ농업용수 등 401건 분석 결과 기사입력:2018-02-24 12:33:42
[로이슈 임한희 기자] 평창 동계올림픽 현장에서 ‘고춧가루’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노로바이러스가 식품은 물론 일부 농업용수ㆍ하천수에도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로바이러스가 겨울 식중독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늦봄인 5월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충북대 식품생명공학과 김광엽 교수팀에 따르면 2015년 1∼11월 노로바이러스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수집한 농산물 80건, 토양 80건, 인체분변 78건, 가축분변 3건, 농업용수 80건, 하천수 80건을 검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에서의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는 한국식품과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모두 401건의 시료를 분석한 결과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18건(검출률 4.5%)이었다. 농산물 80건 중 노로바이러스 검출된 것은 3건(3.8%)으로, 양배추(2건)와 오이(1건)였다. 농업용수(80건)에선 6건(7.5%), 하천수(80건)에선 9건(11.3%)의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 토양(80건)ㆍ가축분변(3건)ㆍ인체분변(78건)에선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일부 농업용수ㆍ하천수에서도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는 것은 농촌 주민이 겨울에도 물을 함부로 마셔선 안 된다는 것을 뜻한다. 겨울 가뭄으로 식수난을 겪는 일부 농촌지역에서 수돗물 공급이 끊기거나 제한 급수가 이뤄지면 지하수ㆍ농산물 전(前)처리용 물 등을 식수로 활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에 더욱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선 ‘윈터 보미팅’(winter vomiting)으로 통한다. 겨울에 구토를 하게 하는 병이란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1∼2월에 채취한 시료에서의 노로바이러스 검출건수가 연간 전체 검출건수의 27.8%를 차지했다. 하지만 3∼5월에 채취한 시료의 노로바이러스 검출건수가 연간 전체 검출건수의 61.6%를 점유했다. 이는 겨울은 물론 늦봄까지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6월에 채취한 시료에선 노로바이러스가 1건도 검출되지 않았다”며 “노로바이러스는 환경에 대한 생존력이 강해 계절에 상관없이 연중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노로바이러스는 손을 잘 씻고 물을 끓여 마시고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효약이 없어 물을 자주 마시는 등 탈수 예방에 주력하면서 자연 치유되길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73.24 ▲119.48
코스닥 888.35 ▲11.54
코스피200 575.31 ▲17.3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90,000 ▲236,000
비트코인캐시 771,500 ▲2,500
이더리움 5,337,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4,120 ▲10
리플 3,782 ▲40
퀀텀 2,895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341,000 ▲297,000
이더리움 5,338,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4,120 ▲30
메탈 702 ▲1
리스크 308 ▲1
리플 3,779 ▲38
에이다 881 ▲4
스팀 12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1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770,500 ▲1,000
이더리움 5,33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110 ▲20
리플 3,781 ▲39
퀀텀 2,902 ▼7
이오타 22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