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 가동

기사입력:2018-01-15 10:36:00
[로이슈 김주현 기자] 정부보급사업으로 설치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앞으로는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사진=에너지공단 제공

사진=에너지공단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사후관리를 A/S센터와 권역별 전담업체 등을 통한 고장설비수리 위주 관리방식에서 실시간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Renewable Energy Monitoring Service) 운영으로 전면 개편한다.

공단은 지난 1993년부터 주택·건물·지역·융복합지원, 태양광대여, 설치의무화 등 다양한 보급프로그램을 통해 30만여 개소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보급하고, A/S센터를 통한 고장설비수리, 표본조사·샘플추적조사 등 사후관리를 추진해왔다.

이번에 오픈한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 통해 신재생에너지 설비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설비 발전량을 조회하고 설비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방위각·경사각·설치여건 등 각종 자료와 모듈·인버터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분석함으로써 전국·지역별 실시간 신재생에너지 발전예측량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공단은 올해 ‘2018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으로 선정된 1만2천여개소에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을 적용하고, 향후 주택·건물·지역·설치의무화사업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이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추진, 마을이나 개별가구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2종 이상의 에너지원을 설치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자립마을 구축사업을 의미한다.

이 밖에도 사용자 정보공개동의과정 등을 거친 후 웹 서비스와 더불어 모바일 서비스도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에너지공단 강남훈 이사장은 “지금까지 여러 기관․업체에서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을 추진해왔으나, 계측주기 및 정보, 통신규격(프로토콜) 등이 서로 달라 데이터 수집․분석이 어려웠다”며 “이번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시스템 구축을 계기로 모니터링 방식을 규격화하고 국제인증을 취득한 통신프로토콜을 무료로 제공하여 신재생에너지 분야 모니터링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공단은 오는 3월 광주에서 개최되는 SWEET 2018(3.14~16)과 4월 대구에서 열리는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4.4~6) 등에 전시부스를 설치하고 태양광·태양열·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과 신재생에너지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내용 등을 공개 시연 및 홍보할 계획이다.

김주현 기자 law2@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62.60 ▲89.36
코스닥 897.44 ▲9.09
코스피200 590.23 ▲14.9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663,000 ▲1,861,000
비트코인캐시 784,000 ▲14,500
이더리움 5,380,000 ▲82,000
이더리움클래식 24,700 ▲190
리플 3,790 ▲28
퀀텀 2,911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00,000 ▲1,771,000
이더리움 5,375,000 ▲7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190
메탈 703 ▼3
리스크 338 ▲17
리플 3,794 ▲27
에이다 892 ▲12
스팀 128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20,000 ▲1,940,000
비트코인캐시 786,500 ▲16,000
이더리움 5,380,000 ▲8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240
리플 3,794 ▲31
퀀텀 2,849 0
이오타 224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