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국카카오은행은 지난 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운영 협약을 체결했다.
신고포상제는 소프트웨어의 버그 및 취약점을 발견한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발견, 조치할 수 있다.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글로벌 기업에서 보안 고도화를 위해 시행 중이며 국내에서는 2012년 10월부터 KISA가 신고포상제를 시행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금융권 최초로 KISA 신고포상제에 참여한다. 6일부터 KISA 인터넷보호나라 홈페이지에서 국내외 거주하는 한국인이면 누구나 신고할 수 있으며 포상금은 최소 30만원부터 최대 500만원까지다.
신고 대상은 카카오뱅크에서 개발한 최신 버전의 SW 및 서비스(모바일앱, 홈페이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취약점이다. 신고된 취약점은 KISA 분석가의 검증을 거쳐 카카오뱅크에서 조치를 취하게 된다. 평가는 KISA와 카카오뱅크 및 화이트해커, 교수, SW제조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 평가 위원회를 구성해 진행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이번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를 통해 고객에게 더 안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카카오뱅크-KISA, SW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시행
금융권 첫 신고포상제 운영 협약 체결…보안 수준 향상 기대 기사입력:2017-12-06 14:28: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86.05 | ▼85.06 |
코스닥 | 835.19 | ▼17.29 |
코스피200 | 468.03 | ▼12.6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723,000 | ▼7,000 |
비트코인캐시 | 775,500 | ▲1,000 |
이더리움 | 5,78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000 | ▼20 |
리플 | 4,011 | ▼7 |
퀀텀 | 3,072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670,000 | ▼24,000 |
이더리움 | 5,778,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990 | ▼40 |
메탈 | 894 | ▲1 |
리스크 | 433 | ▼2 |
리플 | 4,010 | ▼7 |
에이다 | 1,117 | 0 |
스팀 | 16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65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776,000 | ▲2,000 |
이더리움 | 5,78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000 | 0 |
리플 | 4,010 | ▼8 |
퀀텀 | 3,062 | 0 |
이오타 | 23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