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의 혈중 수은 농도가 중독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폐경 후 여성이 중금속에 노출되지 않도록 더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경 전 여성의 철 영양상태가 초경 후 청소년과 폐경 후 여성에 비해 나빴다.
17일 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양윤정 교수팀 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제5기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초경 후 여자 청소년(268명), 폐경 전 여성(1157명), 폐경 후 여성(446명) 등 여성 1871명의 철 영양상태와 혈중 중금속 농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 여자 청소년과 성인 여성의 혈청 철 영양상태 및 식품 섭취와 혈중 중금속 농도와의 상관성 :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는 한국영양학회가 발행하는 ‘식품과 건강 저널’(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연구에서 청소년, 폐경 전, 폐경 후 여성의 평균 나이는 각각 15.3세, 34.1세, 56.3세였다.
여성의 철 결핍(40 ㎍/㎗ 미만) 비율은 청소년 8.3%, 폐경 전 9.8%, 폐경 후 1.4%로, 폐경 전 여성이 가장 높았다. 폐경 전 여성은 헤모글로빈과 혈중 페리틴 농도에서도 세 연령대 중 최저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초경 후 청소년보다 철 섭취량이 많은 폐경 전 여성의 철 영양상태가 가장 나쁜 것은 철 흡수를 방해하는 차ㆍ커피ㆍ술의 섭취빈도가 청소년 보다 많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여성의 혈중 납ㆍ수은ㆍ카드뮴 등 중금속 농도는 폐경 후 여성에서 최고치를 보였다. 혈중 수은 농도가 1ℓ당 5㎍ 이상인 수은 중독 비율도 폐경 후 여성이 24.6%로 가장 높았다. 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의 혈중 수은 농도가 중독 상태란 의미다. 다음은 폐경 전 여성(14.8%), 청소년(3.9%) 순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수은 중독 비율이 많이 나타난 것은 최근 환경부 자료에서 나왔듯이 한국 성인이 매일 섭취하는 수은의 양은 18㎍으로, 납ㆍ카드뮴 등 다른 중금속보다 노출이 쉽다는 것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다”며 “폐경 후 여성의 24.6%가 수은 중독이란 결과는 중년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은 중독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혈중 카드뮴 농도가 1ℓ당 5㎍ 이상인 카드뮴 중독은 폐경 후 여성에서 1명이 있었고, 혈중 납 농도가 1ℓ당 10㎍ 이상인 납 중독은 1명도 없었다. 이는 우리나라 여성에서 납ㆍ카드뮴은 수은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출과 체내 축적 상태가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철 영양 상태는 혈중 중금속 농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초경 후 청소년은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며 “폐경 전 여성도 철 영양 상태가 나쁠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으나, 혈중 납 농도ㆍ혈중 수은 농도는 낮았다”고 지적했다.
폐경 후 여성은 철 영양 상태가 좋을수록 혈중 납 농도는 낮았고, 혈중 수은 농도ㆍ혈중 카드뮴 농도는 높았다.
어떤 식품을 즐겨 먹느냐도 여성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초경 후 청소년의 경우, 우유ㆍ유제품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납 농도가 낮았다. 생선과 어패류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았다.
폐경 전 여성은 콩류ㆍ육류ㆍ계란ㆍ과일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납 농도가 낮았다. 생선ㆍ어패류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수은 농도가 높았다. 폐경 후 여성에선 패스트푸드ㆍ튀긴 음식의 섭취가 많을수록 혈중 납 농도가 낮았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health 톡톡] 폐경 후 여성 4명 중 1명의 혈중 수은 농도 중독 수준?
동덕여대 양윤정 교수팀, 여성 약 1900명 조사 결과 기사입력:2017-10-17 22:12:0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824,000 | ▲594,000 |
| 비트코인캐시 | 759,500 | ▲2,000 |
| 이더리움 | 5,254,000 | ▲11,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20 | ▲20 |
| 리플 | 3,771 | ▼11 |
| 퀀텀 | 2,872 | ▲2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800,000 | ▲490,000 |
| 이더리움 | 5,253,000 | ▲1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40 | ▲30 |
| 메탈 | 699 | 0 |
| 리스크 | 303 | 0 |
| 리플 | 3,769 | ▼13 |
| 에이다 | 869 | ▲2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6,700,000 | ▲4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500 |
| 이더리움 | 5,250,000 | ▲1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970 | ▲20 |
| 리플 | 3,771 | ▼11 |
| 퀀텀 | 2,849 | 0 |
| 이오타 | 217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