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인 수도권지역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3년 기준 인천시 1일 폐기물 발생량은 4,170톤이다. 이 중 76%인 3,154톤은 분리수거 등을 통해 재활용되고 있으며, 20%인 837톤은 소각 처리되어 소각재 등으로 재활용돼 나머지 4%인 179톤만 매립되고 있다.
인천시는 2021년 법령 개정 이후 2026년 직매립 금지 시행을 대비해 공공소각시설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송도 자원순환센터 현대화 사업을 위한 사업비 분담 협약을 앞두고 있으며, 2030년에 준공할 계획이다. 또한, 서구 자원순환센터 신설을 위해 7월부터 입지선정위원회를 재구성하고 운영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생활폐기물 감량뿐만 아니라 자원순환가게와 자원관리사, 녹색나눔장터 운영과 폐비닐 분리배출 등 다양한 생활 속 재활용 정책을 꾸준히 시행해 왔다. 또한 민간 소각업체와 협약을 통해 유사시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인천시는 직매립 금지 이후 매립량 제로화를 위해 생활폐기물 소각 후 발생하는 소각재를 100% 재활용하고 있다. 또한 적극적인 폐기물 감량 정책을 통해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감소시켜 매년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되는 생활폐기물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천시는 올해 하반기에 관내 민간 시설과 함께 생활폐기물의 감량화·재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하고 청년 서포터즈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소통창구를 마련해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앞장설 계획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시민들의 안정적인 생활폐기물 처리를 돕고자 공공시설을 확보해 자원순환센터 신설에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정승환 시 환경국장은 “인천시는 생활폐기물 감량·재활용 및 공공소각장 확충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왔다” 라며, “앞으로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제도가 시행될 수 있도록 환경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인천시, 2026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철저한 대비 마쳐
공공소각시설 확충과 생활폐기물 감량 정책 등 선제적 직매립 금지 대응체계 구축 기사입력:2025-07-17 16:54: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8.07 | ▼4.22 |
코스닥 | 820.67 | ▲2.40 |
코스피200 | 431.10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782,000 | ▼358,000 |
비트코인캐시 | 694,000 | 0 |
이더리움 | 4,888,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160 | ▼30 |
리플 | 4,709 | ▲20 |
퀀텀 | 3,270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785,000 | ▼217,000 |
이더리움 | 4,883,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280 | ▲70 |
메탈 | 1,099 | ▲7 |
리스크 | 625 | ▲3 |
리플 | 4,704 | ▲21 |
에이다 | 1,130 | ▲1 |
스팀 | 20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30,000 | ▼330,000 |
비트코인캐시 | 693,000 | ▲500 |
이더리움 | 4,888,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170 | ▲60 |
리플 | 4,710 | ▲19 |
퀀텀 | 3,244 | 0 |
이오타 | 30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