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롯데케미칼(대표이사 부회장 김교현)이 2022년 1분기 잠정실적(연결기준)으로 매출액 5조 5,863억 원, 영업이익 826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액은 8.3%, 영업이익은 180.0%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86.8% 하락했다.
롯데케미칼은 1분기 실적에 대해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최적화 및 제품 경쟁력 강화, 안정적인 고객처 확보를 통해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며, "국제유가 폭등, 중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등 외부 변수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은 하락했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과 주요 자회사의 2022년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다.
기초소재사업은 매출액 3조 4,747억 원, 영업이익 170억 원을 기록했다. 식품 포장용, 의료용, 태양광용 소재 등에서 높은 수요를 보였으나,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원료가 상승과 중국의 코로나19 봉쇄조치로 수요 회복이 둔화되며 수익성은 제한적인 상승폭을 보였다.
첨단소재사업은 매출액 1조 3,142억 원, 영업이익 545억 원을 기록했다. 중국의 봉쇄조치와 전방산업의 제한적인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미주∙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견조한 수요를 보이며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상승했다.
롯데케미칼타이탄은 매출액 7,913억 원, 영업이익 74억 원을 기록했다. 고유가에 따른 원재료 부담 증가 및 중국의 봉쇄조치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수익성이 하락했다.
LC USA는 매출액 1,623억 원, 영업이익 160억 원을 기록했다. 셰일가스 기반의 에탄을 원료로 활용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고 제품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롯데케미칼은 2분기 실적에 대해 "고유가 상황이 이어지고 중국 봉쇄조치 장기화 등 시장 불안정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수공장의 대규모 정기보수 계획에 따라 손익 개선의 여지는 다소 제한적일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 "고부가 제품 확대 및 원가경쟁력 제고, 영업력 강화 등을 통해 기존사업의 수익성 창출에 힘쓰는 한편, 수소∙배터리소재 사업의 본격적인 실행과 친환경∙Recycle 제품 확대 등 미래사업 역량을 확대하여 지속가능 성장의 토대를 구축해 나갈 것"이며 "주주가치 확대 및 ESG 경영 강화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롯데케미칼, 2022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
기사입력:2022-05-13 17:12:5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92.29 | ▲5.91 |
코스닥 | 818.27 | ▲6.04 |
코스피200 | 431.64 | ▲0.4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454,000 | ▲364,000 |
비트코인캐시 | 676,000 | ▲2,000 |
이더리움 | 4,714,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340 | ▲110 |
리플 | 4,742 | ▲61 |
퀀텀 | 3,187 | ▲3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34,000 | ▲304,000 |
이더리움 | 4,710,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300 | ▲100 |
메탈 | 1,092 | ▲6 |
리스크 | 628 | ▲1 |
리플 | 4,735 | ▲85 |
에이다 | 1,113 | ▲13 |
스팀 | 202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80,000 | ▲280,000 |
비트코인캐시 | 675,500 | ▲3,000 |
이더리움 | 4,714,000 | ▲3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220 | ▲30 |
리플 | 4,734 | ▲57 |
퀀텀 | 3,136 | ▲36 |
이오타 | 327 |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