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롯데케미칼(대표이사 김교현)의 항바이러스 소재 브랜드인 everban(에버반)이 고려대학교 의료원(원장 김영훈)과 약 1년여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다.
everban 소재는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와 같은 악성 세균의 고농도 조건에서도 균 생육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스크래치와 고온, 고습, 자외선 노출 등의 상황 하에서도 지속적인 항곰팡이 성능 유지가 가능한 스페셜티 소재로 개발되었다.
또한,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델타 변이주에 대해서도 항바이러스 성능을 확보한 차세대 유해 미생물 억제 종합 솔루션으로, 위생과 안전에 민감한 의료장비와 접촉 빈도가 높은 신용카드, 인테리어 시트, 손잡이 등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0월부터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코로나 시대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신소재 공동 개발' 주제로 업무협약(MOU) 체결 이후, 항바이러스 플라스틱 소재 연구개발 및 성능 평가를 공동으로 연구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사멸 시간 단축 등에 대한 검증을 진행했다. 이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델타 변이바이러스 모두 24시간 내 99% 이상 사멸하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 이영준 대표는 “코로나 상황에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을 줄이고 평범한 일상 생활이 가능하게 해주는 스페셜티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국내 최고의 연구진과 함께하게 되어 뜻 깊었다”며, “국내 최초의 유해 미생물 억제 소재 개발로 고객 제품의 안전성 및 편의성 향상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롯데케미칼, 항바이러스 성능 강화된 플라스틱 소재 everban 개발
기사입력:2021-12-14 18:03:0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05.24 | ▲45.77 |
코스닥 | 782.19 | ▲3.73 |
코스피200 | 419.91 | ▲6.8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05,000 | ▼74,000 |
비트코인캐시 | 681,000 | ▲2,000 |
이더리움 | 3,469,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30 | ▼260 |
리플 | 3,093 | ▼13 |
퀀텀 | 2,671 | ▼2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89,000 | ▲13,000 |
이더리움 | 3,469,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40 | ▼290 |
메탈 | 914 | ▼9 |
리스크 | 517 | ▼3 |
리플 | 3,092 | ▼15 |
에이다 | 791 | ▼4 |
스팀 | 179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7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682,000 | ▲1,500 |
이더리움 | 3,470,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70 | ▼180 |
리플 | 3,092 | ▼14 |
퀀텀 | 2,665 | ▼13 |
이오타 | 215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