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라한 R&D 사업화 성적…김경만 “맞춤형 사업화 전략으로 대응 역량 길러야”

기사입력:2021-10-03 09:50:11
[로이슈 편도욱 기자] 국내 R&D가 투자 규모 대비 경제적 성과는 저조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연구개발에 나선 기업들이 급격한 시장환경 변화로 인해 R&D 사업화를 포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경만 의원(비례대표)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R&D 지원과제 수는 매년 증가해 2017년 2,336개에서 2021년 3,104건으로 늘어났다. R&D 과제 성공률도 연평균 99%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며 100%에 가까운 달성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사업화 대상 과제 중 실제 사업화에 성공한 과제는 2017년 248건에서 지난해 144건으로 감소했고, 사업화 성공률 역시 최근 5년간 연평균 42.9%에 불과했다. 사업화에 도전했던 R&D 과제의 절반 이상은 사업화에 실패한 채 사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R&D 과제 성공률의 성과가 R&D 사업화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데에는 시장환경 변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9년 기준 사업화 대상 과제 중 사업화를 포기한 과제 120개 중 35개(29.2%)가 시장환경 변화로 사업화를 포기했다. 이어 내부 경영환경 악화가 12.5%, 가격 경쟁력 악화 10.8% 등으로 집계됐다.

김경만 의원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펜데믹 속에 기업의 혁신 R&D 성과는 곧 국가 경쟁력”이라며, “특히, 중소기업이 개발한 기술이 급변하는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사장되는 일이 없도록 맞춤형 사업화 전략을 조속히 세워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86.05 ▼85.06
코스닥 835.19 ▼17.29
코스피200 468.03 ▼12.6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668,000 ▲234,000
비트코인캐시 789,500 ▲500
이더리움 5,805,000 ▲27,000
이더리움클래식 26,500 ▲40
리플 4,013 ▲15
퀀텀 3,166 ▲3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748,000 ▲169,000
이더리움 5,801,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6,460 ▲40
메탈 901 ▼1
리스크 443 ▲4
리플 4,012 ▲18
에이다 1,140 ▲5
스팀 17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60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789,500 ▲3,500
이더리움 5,81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6,480 ▲40
리플 4,016 ▲19
퀀텀 3,133 0
이오타 24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