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피해자는 20대 이하와 60대 이상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는 20대 이하 ~ 20대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증평ㆍ진천ㆍ음성)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사기사건은 2018년 267,419건에서 2020년 344,847건으로 28.95%(77,428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피해자는 20대 이하와 60대 이상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가해자는 20대 이하 ~ 20대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최근 컴퓨터 등 사용사기가 급증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피해자는 20대 이하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대 이하 피해자는 2018년 16,062건서 2020년 24,561건로 52.91%(8,499명)로 증가했다. 이어 60대 이상 피해자는 2018년 27,159건서 2020년 38,744건로 42.66%(11,585명) 증가했다.
피해자 비중이 가장 큰 세대는 20대로 2018년 47,795건서 2020년 66,354건로 38.83%(18,559명) 증가했다.
피의자 20대 이하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대 이하 가해자는 2018년 14,666명에서 2020년 20,802명으로 41.84%(6,136명)증가했다. 이어 20대 가해자는 2018년 39,477명에서 2020년 51,765명으로 31.23%(12,318명) 증가했다.
피의자 비중이 가장 큰 세대는 50대로 2018년 58,987명에서 2020년 61,006명으로 3.42%(2,019명) 증가했다.
사기범죄의 증가와 함께 사기범죄 미제사건도 크게 증가했다. 사기범죄 미제사건은 2018년 6,936건에서 2020년 10,812건으로 55.88%(3,876건) 증가하였다. 지역별로는 대구 179.93%, 전남 147.69%, 서울 95.85% 순으로 증가했다.
사기범죄의 증가로 재산피해도 함께 늘어났지만, 회수금액은 오히려 감소했다.
사기범죄로 인한 재산피해는 2018년 32조 9,600억원에서 2020년 40조 3,139억원으로 22.31%(7조 3,539억원) 증가한 반면, 회수금액은 3조 9,192억원에서 1조 949억원으로 72.06%(2조 8,243억원) 감소했다. 이에 피해금액 회수율은 2018년 11.89%에서 2020년 2.71%로 9.17%p 감소했다.
범죄분류별 사기범죄 세부현황을 살펴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기(형법 347조)는 2018년 259,759건에서 2020년 331,274건으로 27.53%(71,515건) 증가하였다. 증가 폭이 가장 큰 범죄는 컴퓨터 등 사용사기(형법 제347조의 2)로 2018년 2,414건에서 2020년 7,381건으로 3배(4,967건) 이상 증가하였다.
컴퓨터 등 사용사기는 컴퓨터 등을 통해 정보 또는 부정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권한 없이 정보를 입력하거나 변경하여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유형의 범죄를 말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사기 범죄 타깃은 '10대와 60대'…가해자는 20대가 많아
기사입력:2021-10-03 07:14: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86.05 | ▼85.06 |
코스닥 | 835.19 | ▼17.29 |
코스피200 | 468.03 | ▼12.6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668,000 | ▲234,000 |
비트코인캐시 | 789,500 | ▲500 |
이더리움 | 5,805,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500 | ▲40 |
리플 | 4,013 | ▲15 |
퀀텀 | 3,166 | ▲3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748,000 | ▲169,000 |
이더리움 | 5,801,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460 | ▲40 |
메탈 | 901 | ▼1 |
리스크 | 443 | ▲4 |
리플 | 4,012 | ▲18 |
에이다 | 1,140 | ▲5 |
스팀 | 170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600,000 | ▲110,000 |
비트코인캐시 | 789,500 | ▲3,500 |
이더리움 | 5,810,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480 | ▲40 |
리플 | 4,016 | ▲19 |
퀀텀 | 3,133 | 0 |
이오타 | 24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