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KOTRA가 29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2019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M&A 동향 및 전략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외 M&A를 통한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는 행사다.
KOTRA에 따르면 이번 설명회에서는 우선 최근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분야 M&A 시장 동향과 기회를 다뤘다. 일본 수출규제 등으로 급속한 환경 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국내 주력산업의 현황과 M&A 활용 대응전략도 살폈다.
또한 KOTRA 지원으로 성사된 우리 기업의 해외 M&A 성공사례와 M&A 매물 정보를 공유했다. KDB산업은행은 지난 9월 출범한 ‘해외 투자 M&A 공동지원 협의체’를 바탕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 해외 M&A 금융지원 및 활용방안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NH증권 리서치센터는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한국·일본 산업구조 분석, 국내 산업별 영향과 국산화 전망, M&A 시사점 등 깊이 있는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가 우리 기업의 국산화 노력과 정부 지원을 오히려 자극했다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대응한다면 한국경제가 한단계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독일법인의 M&A 전문가, 파란슈 로하트기(Paranshu Rohatgi)는 최근 유럽 화학산업의 중간 규모 M&A 증가에 주목했다. 친환경 화학제품 수요가 늘고 전기차 산업이 본격적으로 커지면서 기존 주요 사업자들이 전후방 밸류체인 통합에 집중하고 있다는 뜻이다. 로하트기는 “생산라인, 제품군에 대한 부분매각(Carve-Out) 방식 인수합병이 활발해질 것이다”며 “한국 기업도 유럽시장 밸류체인에 들어갈 수 있는 좋은 기회다”라고 말했다.
독일 컨설팅사 움라우트(Umlaut)에서 미국 자동차·통신 산업 전문가로 활동 중인 코넬리우스 비터솔(Cornelius Bittersohl)는 무역분쟁과 세계 경제환경 불안정에 따라 M&A 규모가 전반적으로 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항공, 자동차, 통신, 산업재 분야에서 기술기반 기업에 대한 인수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설명했다.
장상현 KOTRA 인베스트코리아 대표는 “국내 기업의 소재·부품·장비 투자수요 증대에 따라 앞으로 유럽, 미국 등지에 기술확보형 M&A 지원센터를 개설하겠다”며 “해외M&A 기능을 강화해 한국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계속 기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KOTRA,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M&A 동향 및 전략 설명회' 개최
기사입력:2019-11-29 15:31:3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0.04 | ▼26.34 |
코스닥 | 807.96 | ▼4.27 |
코스피200 | 427.25 | ▼3.9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07,000 | ▲778,000 |
비트코인캐시 | 683,500 | ▲5,500 |
이더리움 | 4,618,000 | ▲4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280 | ▲300 |
리플 | 4,185 | ▲57 |
퀀텀 | 3,210 | ▲2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227,000 | ▲789,000 |
이더리움 | 4,622,000 | ▲5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250 | ▲280 |
메탈 | 1,102 | ▲6 |
리스크 | 635 | ▼3 |
리플 | 4,185 | ▲60 |
에이다 | 1,052 | ▲15 |
스팀 | 20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80,000 | ▲750,000 |
비트코인캐시 | 683,500 | ▲5,000 |
이더리움 | 4,617,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230 | ▲270 |
리플 | 4,187 | ▲57 |
퀀텀 | 3,205 | 0 |
이오타 | 31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