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졸음사고 예방 토론회’ 개최

기사입력:2019-03-05 11:05:52
[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국도로공사가 지난달 27일 THE-K호텔서울에서 공사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고속도로 졸음사고 예방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전문가들이 모여 졸음사고의 원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화물차 공제조합 등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됐다.

지난해 졸음운전 및 주시태만으로 인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153명으로 전체 고속도로 사망자(227명)의 68%를 차지했고, 대형 인명피해 우려가 높은 화물차 사고의 80%가 졸음이 원인이었다.

이날 졸음운전의 심각성 및 예방 대책에 대해 기조발표를 한 최기주 대한교통학회장은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 국토교통부를 비롯해 산·학·연·관간의 협력을 강조했다.

이날 한국도로공사 교통처 김찬우 팀장은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 원인이 운전자뿐 아니라 차량과 교통, 도로환경 등 복합적 요인도 있는 만큼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서는 도로공학과 환경, 교육, 홍보, 정부규제 등이 복합적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이현석 수석연구원은 차량들의 연속 주행시간과 위험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위험구간은 ▲고속도로 진입 전부터 연속 주행시간이 긴 구간과 ▲분기점 합류 구간 ▲휴게소 간격이 긴 구간으로 분류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해 휴식공간을 확충하고 도로시설 및 교통 특성에 맞춰 졸음운전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교통연구원 한상진 센터장, 교통안전공단 최경임 처장, 도로교통공단 오주석 선임연구원 등은 졸음운전의 특성을 고려해 ▲인프라 개선 부문은 중앙선과 바깥쪽 모두 노면요철포장 설치 ▲차량안전기준 개선 부문은 화물차와 대형버스를 대상으로 긴급자동제동장치와 차로이탈경보장비 조기보급 필요 ▲제도적 개선 부문은 운행기록계 점검으로 운전시간 제한과 휴게시간 보장, 운전면허 학과시험에 졸음운전의 위험성 포함 등 ▲교육·홍보 부문은 법정교육 대상 구체화 및 전문화, 실용정보 위주의 교육, 피로의 위험성과 휴식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등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공통으로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정부 및 유관기관의 전문가들은 졸음운전은 모든 구간, 모든 시간에서 발생하는 만큼 도로 관리기관, 차량 운전자, 시민, 운송업계 등 범국민적 운동으로 사회적 이슈화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한국도로공사 이강래 사장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졸음운전 사고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법적·제도적 개선이 이뤄지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영록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45.24 ▼16.06
코스닥 863.11 ▲6.00
코스피200 473.44 ▼1.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728,000 ▼137,000
비트코인캐시 835,000 ▼2,500
이더리움 6,293,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8,040 ▲20
리플 4,177 ▲7
퀀텀 3,303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794,000 ▼57,000
이더리움 6,29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8,020 ▼30
메탈 992 ▲4
리스크 498 ▲1
리플 4,174 ▲8
에이다 1,240 ▼1
스팀 18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1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836,500 0
이더리움 6,29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7,940 ▼40
리플 4,177 ▲9
퀀텀 3,287 0
이오타 26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