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헌 의원, "헌혈은 늘어도 매년 평균 10만개 혈액팩 폐기"

혈액팩 하루 260개꼴로 폐기...5년간 59만개 쓰지도 못하고 버려져 기사입력:2025-10-03 11:53:51
(사진제공=백종헌의원실)

(사진제공=백종헌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의원이 대한적십자사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무려 59만3453개 유닛(팩)이 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올해 들어서만도 하루 평균 260여 개의 혈액팩이 버려지고 있는 것이다.

헌혈 실적 현황에 따르면, 매년 240만 건 이상 이어지고 있으며, 2024년에는 약 264만 건으로 2022년부터 헌혈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1유닛은 약 320~400cc로, 전혈 헌혈 1회분에서 보통 혈장·적혈구·혈소판 등 3유닛 정도의 혈액제제가 생산된다. 이렇게 국민들의 헌혈 참여는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환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혈액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최근 5년간 혈액 생산량 및 폐기 현황에 따르면, 혈액제제 생산량이 3,535만 유닛에 달했으나, 이 중 59만 유닛이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평균 10만 6천 유닛이 폐기되고 있었고, 특히 2022년에는 폐기량이 13만 6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다.

(제공=백종헌의원실)

(제공=백종헌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혈액 폐기 원인을 살펴보면, 혈액 선별검사 결과 이상이 34만 4천여 유닛으로 가장 폐기량이 많았고, 채혈제제 과정에서는 24만 3천여 유닛, 혈액보관 과정에서는 6천여 유닛에 달했다.

혈액검사 결과 이상이 전체 폐기의 58%, 혈액안전성 등 채혈제제 과정에서의 원인이 41%를 차치하며 사실상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헌혈 이후 부적격 판정이 내려지면서 대규모 폐기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청 등 관계기관과 헌혈금지약물 처방정보와 혈액매개감염병 확진자 정보를 연계해 헌혈 전 헌혈자의 건강정보를 확인하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 차단 장치에도 불구하고 매년 10만 유닛가량의 혈액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백종헌 의원은 “검사 과정에서 부적격 혈액 판정은 수혈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헌혈 이후 수많은 혈액이 폐기되는 것은 타인의 생명을 위하는 헌혈의 의미를 약화시키는 일이다”며 “헌혈자의 선의가 헛되지 않도록 헌혈 단계에서부터 이상 혈액을 보다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657.28 ▲95.47
코스닥 864.72 ▲16.76
코스피200 510.55 ▲13.6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8,847,000 ▲646,000
비트코인캐시 800,000 ▲4,000
이더리움 6,067,000 ▲52,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150
리플 3,701 ▲16
퀀텀 3,049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009,000 ▲786,000
이더리움 6,074,000 ▲56,000
이더리움클래식 25,000 ▲150
메탈 798 ▲3
리스크 359 ▲3
리플 3,705 ▲18
에이다 1,025 ▲8
스팀 14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000,000 ▲800,000
비트코인캐시 800,500 ▲7,000
이더리움 6,070,000 ▲5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40
리플 3,705 ▲19
퀀텀 3,029 0
이오타 221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