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부동산 시장에서 원도심으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원도심 회귀’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서울은 용산과 성수, 서울역 일대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고, 부산은 지역 문화∙상권의 중심인 서면 일대 개발이 탄력을 받으며 ‘리턴 투 코어(Return-to-Core)’ 트렌드를 주도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의 배경으로 원도심 권역이 기존의 핵심 인프라가 탄탄하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교통 편의성, 문화 인프라의 밀집도를 잘 갖춰 최근 걸어서 수 분 내에 대부분 편의를 누릴 수 있는 도시개발 트렌드인 ‘15분 생활권’에도 부합한다는 평가다. 여기에 원도심 지역은 직장·여가·주거가 한데 어우러진 복합 기능을 수행해 가족단위 수요는 물론 고소득 1~2인 가구나 청년층의 ‘도심 회귀 수요’를 끌들이고 있다. 외곽을 개발하는 것보다, 이미 잘 갖춰진 도심을 재생하는 쪽이 삶의 질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라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용산구와 성동구가 대표적인 ‘리턴 투 코어’ 지역으로 꼽힌다. 국제업무지구 조성, 서울역 부근 개발, 용산공원 조성 등 굵직한 개발 사업이 잇따르면서 지역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성동구도 성수전략정비구역 내 4개 지구 재개발 고시를 마치면서 ‘강북의 강남’으로 자리매김하는 분위기다. 집값도 이들 두 곳이 리딩 중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용산구 아파트 3.3㎡당 가격은 올 3월 7204만원으로 강남3구에 이어 4위를 기록 중이며, 성동구가 5899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부산 역시 오랜 역사와 상징성을 지닌 상업·문화 중심지인 서면을 중심으로 원도심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우선 제2의 판교로 꼽히는 범천철도차량정비단 이전 부지 개발이 단연 주목을 끈다. 부산시에 따르면 개발을 통해 4차산업과 문화콘텐츠 등이 융합된 ‘도심권 혁신파크’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여기에 부전역 복합환승센터 추진계획 등 교통·산업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젊은층의 유입과 상권 확장이 기대된다.
더불어 부산판 센트럴파크로 꼽히는 부산 시민공원 일대도 미니 신도시급 재개발이 본궤도에 올랐다. 시민공원주변 재정비촉진지구 일대 5개 구역에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초고층으로 조성 예정이라 상징성을 더할 전망이다.
부산진구 내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범천철도차량정비단 이전 부지 개발과 시민공원 촉진지구 재개발은 서면 일대를 명실상부한 부산의 중심지로 다시 한번 도약시킬 핵심 동력”이라며 “첨단 산업 기능과 쾌적한 주거 환경이 결합되면서 젊은 인구 유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도 옛 도심 활성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해 11월 국토교통부로부터 KTX 대전역·옛 충남도청·중앙로 일원 134만㎡를 묶은 ‘도심융합특구’ 지정·기본계획 승인을 받아 고밀 복합개발에 착수했다. 핵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는 사업자 공모에 들어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향후 ‘리턴 투 코어’ 현상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인구 구조 변화와 주거 트렌드 변화로 도심 집중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특히 원도심은 이미 교통, 교육, 편의시설 등 뛰어난 정주 여건을 갖추고 있어 직주근접을 중시하는 젊은층과 고령층 모두에게 매력적인 공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에 개발이 외곽 확장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제는 기존 도심의 기능을 고도화하고 노후화된 지역을 재생하는 방향으로 도시 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점도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당장 분양을 앞둔 곳을 중심으로 원도심 미래 가치를 선점하려는 수요자들의 움직임도 바빠질 것으로 기대된다. 쌍용건설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일원에 ‘쌍용 더 플래티넘 서면’을 5월 분양 예정이다. 최고 48층 높이로 들어서며, 아파트 432가구(3개동)와 오피스텔 36실(1개동)을 합쳐 총 468가구 규모다. 부산지하철 2호선 부암역 초역세권에 자리하며, 서면역(1∙2호선)까지 단 1개 정거장,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까지도 3개 정거장 거리에 위치해 도심 접근성이 빼어나다. 동해선·중앙선 등이 정차하는 부전역도 이용할 수 있어 쾌속 교통망도 더했다. 이와 함께 공급되는 오피스텔은 1개층 1개 호실의 세대 단독층으로 설계해 프라이버시를 높였고, 탁 트인 시민공원·시티뷰 조망도 누릴 수 있다.
서울 용산구에서는 옛 유엔군사령부 부지에 들어서는 ‘더파크사이드 스위트’를 올 상반기 분양할 예정이다. ‘더파크사이드 서울’ 내 들어서는 오피스텔로 775실을 상반기 분양 예정이다. 대전에서는 대전역과 가까운 중구 선화동에서 코오롱글로벌 시공 ‘대전 하늘채 스카이앤 3차(998가구)’가 분양을 예정하고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리턴 투 코어(Return‑to‑Core)’ 부동산 핵심지 원도심 개발 활발
기사입력:2025-04-24 10:54:2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7.00 | ▲1.58 |
코스닥 | 726.30 | ▼0.16 |
코스피200 | 339.58 | ▲0.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10,000 | ▲582,000 |
비트코인캐시 | 526,000 | ▲2,000 |
이더리움 | 2,607,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80 | ▲210 |
리플 | 3,245 | ▲26 |
이오스 | 992 | ▲16 |
퀀텀 | 3,155 | ▲3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342,000 | ▲512,000 |
이더리움 | 2,608,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60 | ▲180 |
메탈 | 1,214 | ▲6 |
리스크 | 769 | ▲6 |
리플 | 3,243 | ▲21 |
에이다 | 1,010 | ▲10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00,000 | ▲490,000 |
비트코인캐시 | 526,500 | ▲1,500 |
이더리움 | 2,607,000 | ▲2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40 | ▲140 |
리플 | 3,245 | ▲23 |
퀀텀 | 3,155 | ▼39 |
이오타 | 29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