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방송이슈] 롯데시네마, 팬덤 전용 상영관 ‘아티스테이지’ 오픈 外

기사입력:2025-10-02 19:30:41
[로이슈 편도욱 기자] 복합문화공간 컬처스퀘어(Culture Square)를 지향하는 롯데시네마가 국내 최초 팬덤 전용 상영관 ‘아티스테이지(ARTISTAGE)’를 론칭한다고 밝혔다.

롯데시네마가 새롭게 선보이는 ‘아티스테이지’는 ‘ARTIST’와 ‘STAGE’를 결합해 ‘아티스트를 만나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팬미팅, 토크 콘서트, 상영회, 공연 등 팬덤 기반 행사가 가능한 상영관이다. 롯데시네마는 ‘아티스테이지’를 통해 관객과 아티스트가 직접 소통하는 문화 플랫폼으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아티스테이지’는 고품질 음향 장비와 촬영에 최적화된 무대 조명 장치를 갖추어 기존 상영관과 차별화된 환경을 조성하였다. 멀티플렉스로서 보유하고 있는 공간 및 기술적 특성과 더불어 도심 속 편리한 접근성을 기반으로 팬들과의 접점을 넓히는 소통의 기회를 제공한다.

롯데시네마는 ‘아티스테이지’ 론칭을 통해 팬과 아티스트가 가까이서 호흡하며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교류의 장을 열었다. ‘아티스테이지’는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와 도곡에서 문을 열고 ‘서울 서브컬처 팬밋업’, 걸그룹 ‘지니어스(Geenius)’ 리스닝 파티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다. 당일 현장에서는 게임, 토크, 이벤트, 팬사인회, 라이브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팬들과 활발히 소통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향후 ‘아티스테이지’는 단순한 공간 대여를 넘어 누군가를 지지하고 응원하는 마음이 모인 플랫폼으로 발전해 극장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영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협업하여 문화와 팬덤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이어갈 계획이다.

앞서 롯데시네마는 극장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선보인 바 있다. 그 중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의 서브컬처 복합문화공간 ‘브이스퀘어(V-SQUARE)’와 롯데시네마 홍대입구의 몰입형 체험 공간 ‘라이브시네마’는 MZ세대가 주목하는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으며 극장의 가능성을 넓혀가고 있다.

◆PC ‘오디션’, 2025 한가위 이벤트 실시

한빛소프트에서 서비스하는 PC온라인 스타일리시 리듬댄스 게임 '오디션'이 2025년 한가위를 맞아 다채로운 추석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오디션에 따르면 올해 한가위 이벤트는 10월2일 정기점검 후부터 10월16일 정기점검 전까지 2주간 진행되며 속담 퀴즈와 신규 모션 한정 패키지 출시 등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됐다.

유저들은 먼저 매일 돌발적으로 등장하는 속담 문제를 완성하면 '빨강·파랑·노랑 복주머니'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노랑 복주머니를 개봉할 경우 한복 콘셉트로 신규 제작된 한가위 아바타 세트와 송편 모양의 손액세서리를 정해진 확률로 획득할 수 있다.

속담 문제는 댄싱홀·가든·랭킹·팸오피스·오디션 스튜디오·패션몰 중 한 곳에서 랜덤하게 등장하며 빈칸에 해당하는 선택지의 방향키를 5초 안에 누르면 복주머니를 받는다.

또한, 오디션은 추석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전통 춤을 모티브로 제작한 신규 감정 모션 2종(부채춤, 소고춤)과 추석 특별 패키지를 기간 한정으로 선보인다. 패키지에는 명절 분위기를 담은 DJ부스와 등 액세서리를 비롯해 경험치 3배 아이템 100개, 경험치 폭죽 50개, 베스트프렌드 마크 10회 등 게임 플레이에 유용한 아이템이 풍성하게 포함됐다.

◆뉴로메카, 로봇에 AI를 더한 현장 최적화 '풀스택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첫선

뉴로메카는 2025년 10월 1일 열린 ‘AI Festa Future Tech Conference’에서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풀스택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전략을 공개했다. 뉴로메카가 공개한 전략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VLA(비전–언어–액션) 모델의 뛰어난 추론력과 일반화 성능에 더해, '현장 안전성'과 '성공률'이라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실 데모와 실제 현장 배치 사이에는 여전히 본질적 갭이 존재한다”는 문제 제시로부터 뉴로메카는 기존 RFM의 해결과제를 제안했다. 첫 번째 과제는 '안전성'이다. AI가 생성한 로봇 동작이 아무리 정교해도,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할 때 산업안전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현장 적용은 불가능하다. 두 번째 과제는 '정밀성과 성공률'이다. 실제 제조·물류·서비스 현장에서는 단순한 데모 수준이 아닌, 고정밀 작업에서 안정적으로 인간 이상 수준의 높은 성공률을 보여줘야 한다

이를 위해 뉴로메카는 '고정밀 스킬 실행기'와 '척수반사형 안전지능'을 더한 풀스택 RFM을 선보였다. 뉴로메카의 RFM은 AI가 만든 액션을 고정밀 실행기가 보정해 공정 성공률을 99% 이상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안전지능은 ISO 국제 안전기준을 위배하지 않도록 로봇 동작을 강제 제어한다. 설령 잘못된 명령이나 위험한 동작이 입력되더라도 로봇은 사람의 척수반사처럼 즉각 회피하여 '사고 없는 AI 로봇'을 구현한다.

뉴로메카는 실제 성공사례를 공개하며 현장 적용성을 입증했다. ▲모터 케이블 납땜 자동화: 1mm 수준의 미세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며 99% 이상의 성공률 달성 ▲분체 정밀 분주: 참깨·소금·밀가루 등 다른 물성을 가진 재료를 목표 대비 ±1g 이내로 계량,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안전과 정밀성을 동시에 확보한 RFM은 실험실 데모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산업 공정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로봇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뉴로메카의 풀스택 RFM은 뉴로메카가 자체 개발해 온 기술로, 그간 협동로봇에 탑재되어 안전성과 현장성을 입증해 온 INDY Framework(인디 프레임워크)가 휴머노이드 폼팩터에 맞게 진화한 형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657.28 ▲95.47
코스닥 864.72 ▲16.76
코스피200 510.55 ▲13.6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108,000 ▼302,000
비트코인캐시 796,500 ▲500
이더리움 6,05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100
리플 3,675 ▲8
퀀텀 3,032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055,000 ▼515,000
이더리움 6,05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80
메탈 793 ▲1
리스크 355 ▲1
리플 3,674 ▲2
에이다 1,015 ▲1
스팀 14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150,000 ▼360,000
비트코인캐시 796,000 ▼500
이더리움 6,05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120
리플 3,672 ▲2
퀀텀 3,033 ▲4
이오타 220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