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아파트 주민공동시설에 들어서는 커뮤니티 시설의 고급화, 차별화 경쟁이 치열하다. 주택 수요자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건설사마다 주거 기능만을 제공하던 아파트 이미지에서 벗어나 일과 운동, 여가, 취미까지 즐길 수 있는 ‘만능’ 공간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갤럽 등에 따르면 ‘2025 부동산 트렌드 보고서’에서 수요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택 특화 컨셉 1위는 '다양한 커뮤니티가 갖춰진 주택'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대비 9%P 증가한 것으로, 주거 공간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주택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최근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이 일고 있는 것도 새 아파트의 평면 조경과 더불어 차별화된 커뮤니티 시설 등이 반영된 결과”라며 “피트니스 센터, 골프연습장 등의 시설은 이제 기본이 됐고, 여기에 수영장, 스카이 라운지, 조식 서비스 등의 특화 시설이 마련돼야 주목받는 시대”라고 말한다.
재건축·재개발 수주 전에서도 차별화되고 고급스러운 커뮤니티 시설은 조합원의 표심을 좌우하는 한편 단지의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커뮤니티 시설을 리모델링하는 기존 아파트도 늘고 있다. 2008년 입주한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는 올해 4월 송파구로부터 커뮤니티 시설 확장 허가를 받아 리모델링을 진행 중이다. 이 아파트는 국내 첫 커뮤니티 시설 리모델링 사례로, 수십억 원에 달하는 비용이 들지만 아파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커뮤니티 시설 재단장에 나선 것이다.
고급 아파트의 척도로 여기지는 수영장, 스카이라운지 등은 서울 강남권을 벗어나 최근에는 경기도와 지방으로도 확산 중이다.
GS건설은 이달 분양하는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광명R12구역 ‘철산역자이’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에 수영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3개 레인에 별도의 유아풀, 체온유지풀과 사우나(온/냉.열탕)도 마련된다. 또 24층에 조성되는 클럽 클라우드에는 스카이라운지를 비롯해 교보문고 북 큐레이션, 북라운지, OCS(Open Coffee Station) 등의 차별화된 휴게문화 공간도 마련된다. 이 아파트는 지하 7층~지상 최고 29층, 19개동, 총 2045가구며, 이중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전용면적 39~84㎡ 650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우미건설은 경기 오산시 서동에서 ‘오산 세교 우미린 레이크시티’를 9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10개동, 총 1424가구 규모이며 유아풀을 갖춘 실내수영장, 서동저수지 조망이 기대되는 스카이라운지, 게스트하우스 등의 커뮤니티 시설을 선보인다.
한화 건설부문은 울산 남구 무거동에서 '한화포레나 울산무거'를 9월 내놓을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25층, 8개동, 전용면적 84~166㎡ 총 816가구며 25층에는 스카이라운지가 들어서고, 축구장 절반 크기인 약 3600㎡의 면적에 게스트하우스 등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을 마련한다.
현대건설은 부산 동래구 사직동에서 '힐스테이트 사직 아시아드'를 9월 선보인다. 지하 3층~지상 35층, 10개동, 전용면적 50~121㎡ 총 1068가구의 대단지며 사직동 최초로 103동 31층에 스카이라운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또 부산지역 최초로 도입되는 스크린야구장도 계획돼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수영장, 스카이라운지…커뮤니티 고급화·차별화 ‘붐’
기사입력:2025-09-24 15:46: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72.14 | ▼14.05 |
코스닥 | 860.94 | ▼11.27 |
코스피200 | 480.39 | ▼1.1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04,000 | ▲239,000 |
비트코인캐시 | 794,500 | ▲2,000 |
이더리움 | 5,936,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70 | ▲40 |
리플 | 4,075 | ▼3 |
퀀텀 | 3,095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50,000 | ▲189,000 |
이더리움 | 5,940,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980 | ▲30 |
메탈 | 940 | ▼1 |
리스크 | 460 | 0 |
리플 | 4,077 | ▼3 |
에이다 | 1,160 | 0 |
스팀 | 17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80,000 | ▲290,000 |
비트코인캐시 | 793,000 | 0 |
이더리움 | 5,93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00 | ▲60 |
리플 | 4,077 | ▼3 |
퀀텀 | 3,066 | 0 |
이오타 | 24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