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오늘의집은 오는 13~15일까지 일본 시부야에서 열리는 라이프스타일 이벤트 ‘나츠 마츠리 25(NATSU MATSURI 25)’에 참가한다고 11일 밝혔다.
‘NATSU MATSURI 25’는 일본의 라이프스타일 미디어 ‘키오쿠테키 산사쿠(KIOKUTEKI SANSAKU)’가 주최하는 행사다. 이곳은 한국에서도 인기있는 일본 유명 패션브랜드 BEAMS나 스위스 가구회사 Vitra와 협업하는 등 인테리어·라이프스타일 문화를 선도하는 매체다.
2023년부터 연 2회 도쿄에서 팝업 행사를 열고 있으며 이번 행사에는 총 89개 인테리어·패션·아트 관련 업체가 참여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들 중 해외 브랜드는 오늘의집이 유일하다.
오늘의집은 이번 행사에서 글로벌 서비스명 ‘오하우스(Ohouse)’ 이름으로 팝업 부스를 열 계획이다. 레어로우·세이투셰·46month·LEEJAE 등 한국을 대표하는 고감도 인테리어 디자인 브랜드 상품 20개를 엄선해 전시한다. 특히 오하우스 앱에서 일본 유저들의 관심을 많이 받았던 브랜드와 제품이 오프라인 공간에서 일본 고객들과 만나는 첫번째 자리가 될 전망이다.
오늘의집은 2022년 일본에 진출, 지난해 10월부터는 커머스 서비스를 도입하며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오하우스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 팔로워 수는 약 28만명, 앱 다운로드 수는 100만회에 이른다. 이용자 수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한 해에만 앱 MAU가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이번 오프라인 팝업을 계기로 일본 고객들에게 오하우스와 한국 디자인 브랜드를 확실히 각인시키는 것이 목표다.
◆‘2025 서울 팝콘(Seoul POPCON)’, 12일 코엑스서 개최
글로벌 팝 컬쳐 콘텐츠 축제 '2025 서울팝콘(이하, 서울팝콘)'이 오는 12일(금)부터 14일(일)까지 3일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 A홀에서 개최해 글로벌 콘텐츠 IP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이번 ‘서울팝콘’은 B2B와 B2C를 융합한 종합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주요 글로벌 콘텐츠(게임·영상·만화·웹툰 등)를 바탕으로 ▲게임콘(PC, 콘솔, 모바일, 인디게임, AI, XR 등) ▲코믹콘(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 피규어, 코스플레이, 도서 등) ▲라이브콘(영화, 드라마,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OTT 등) ▲하비콘(조립, 컬렉션, 드로잉, 패션, F&B 등) 4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돼 IP 비즈니스 확장과 새로운 네트워킹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Creator Alley & The Rookies를 통해 콘텐츠 분야별 크리에이터와 신인 작가의 개성 있는 작품을 만날 수 있고 ▲Indie Game Village에서 성장 잠재력을 가진 인디게임 개발사들의 신작 게임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무대 프로그램 역시 더욱 다채롭게 구성된다. 특히 팬과 스타가 함께 만드는 ▲Star Meet & Talk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게스트가 출연한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엑스맨: 아포칼립스」, 넷플릭스 영화 「첫눈에 반할 통계적 확률」에서 개성 있는 연기를 보여준 헐리웃 배우 벤 하디(Ben Hardy)가 2025 서울팝콘을 통해 처음 내한한 만큼 국내외 팬들과 많은 시간을 보낼 예정이다. 특히 이번 9월에 국내 개봉한 컨저링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인 「컨저링: 마지막 의식」 비하인드와 배우로서의 다양한 이야기를 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 세계적으로 K-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가운데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헌트릭스 팀 한국 더빙을 담당한 ▲성우 토크쇼를 통해 팬들과 소통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드라마 제작으로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화제가 된 웹툰 ‘피라미드 게임’과 웹소설 ‘중증외상센터’의 원작자인 달꼬냑 작가와 한산이가 작가가 토크쇼와 팬사인회를 통해 팬들과 만남과 ▲SOOP TV 아뮤소 콘서트, ▲니지산지 버츄얼 라이버와의 팬미팅 등이 진행된다.
이외에도 해외 유명 코스플레이어들의 팬미팅과 포토타임을 무대에서 진행하고, 국내 최고의 퀄리티를 자랑하는 ▲얼티밋 코스플레이 배틀(UCB)이 마지막 대미를 장식한다.
◆‘제14회 월드커피리더스포럼’, 11월 19일 코엑스서 개최
오는 11월 코엑스에서 국내외 F&B 산업 리더들의 인사이트와 경험의 확장을 조명하는 최대의 지식 플랫폼이 열린다. 커피를 통해 산업과 사회, 인간과 자연이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를 제시하는 ‘제 14회 월드커피리더스포럼(The 14th World Coffee Leaders Forum, 이하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이 오는 11월 19일(수)부터 22일(토)까지 4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은 전 세계 75개국 이상이 참가하는 아시아 유일의 글로벌 커피 지식 플랫폼으로 UN 산하 기관인 국제커피기구(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서울시, 스페셜티커피협회(Specialty Coffee Association)의 후원으로 열린다.
올해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은 ‘미식 경험의 설계자들(The Architects of Gastronomic Experience)’을 주제로 커피를 비롯한 F&B 산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리더들의 고객 경험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프리미엄 지식 포럼으로 F&B 분야를 이끄는 글로벌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글로벌 식문화 대표 브랜드 디렉터부터 공간 경험 디자이너, F&B 미디어 대표와 함께 세계 커피 챔피언 바리스타, 커피 생산자 등 특별하면서도 다양한 분야의 여러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교류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은 미식을 통한 개인의 경험을 확장하고 이를 비즈니스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강연과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실무자와 식음료업계 종사자들은 브랜드 철학과 전략을 강화하는 노하우, 소비자에게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며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현장의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배울 수 있다. 커피 애호가와 식문화에 관심 있는 미식가들은 세계 챔피언 바리스타의 시연을 가까이에서 체험하고, 업계 전문가들과 교류하며 취향의 깊이를 더하고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업계를 리드하는 글로벌 리더들의 메시지와 인사이트를 만나볼 수 있는 플리너리 세션에서는 ㈜식음연구소의 노희영 대표와 더현대 VMD팀 정민규 책임디자이너, SCA 야니스 아포스톨로풀로스 대표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한다. 이번 연사들은 커피를 비롯해 브랜딩, 고객 경험 분야에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리더들로,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오늘의집, 일본 시부야에서 첫 오프라인 팝업 오픈한다 外
기사입력:2025-09-11 20:37:0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66,000 | ▲547,000 |
비트코인캐시 | 827,500 | ▲4,000 |
이더리움 | 6,416,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40 | ▲60 |
리플 | 4,264 | ▲9 |
퀀텀 | 3,643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00,000 | ▲544,000 |
이더리움 | 6,417,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60 | ▲100 |
메탈 | 1,011 | ▲3 |
리스크 | 531 | ▲3 |
리플 | 4,261 | ▲7 |
에이다 | 1,257 | ▲3 |
스팀 | 18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90,000 | ▲590,000 |
비트코인캐시 | 827,500 | ▲2,500 |
이더리움 | 6,41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170 | ▲90 |
리플 | 4,264 | ▲9 |
퀀텀 | 3,630 | 0 |
이오타 | 276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