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민주 교수가 지난 8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영양학회(IUNS-ICN 2025)에서 국제영양과학연맹(IUNS)이 수여하는 세계적 권위의 '네빈 S. 스크림쇼 상(Nevin S. Scrimshaw Prize)'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상은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의 연구자 가운데 영양학 분야에서 두드러진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김 교수는 2017년부터 한국인 맞춤형 정밀영양 중재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를 쌓아왔다.
특히 아시아 지역 대사성 질환에 대한 오믹스(Omics) 기반 개인 맞춤형 영양 연구를 통해 질병 관리의 패러다임을 ‘치료’에서 ‘예측 및 예방'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했으며, 영양과학의 학문적 발전과 실천적 확산에 크게 이바지한 점을 높이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오믹스(Omics)란 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등을 통합 분석해 생물학적 정보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첨단 생명정보 분석 기술이다.
국내 대사성 질환 유병률은 2017년 29.4%에서 2020년 35.3%로 급증했으며, 특히 MZ세대에서 조기 발병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2017년 대비 2021년 20~39세 고혈압 환자는 29.2%, 20~30대 당뇨 환자는 33% 증가했다. 그러나 기존 서양인 중심의 영양 지침은 아시아인의 고유한 유전적 변이와 대사 반응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한국인에게 최적화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질병 발생 후 치료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발병 전 단계에서 조기 예측하고 개인 맞춤형 예방 전략을 제시하는 정밀영양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김 교수는 오믹스 기술을 통합한 혁신적 연구를 3단계에 걸쳐 수행하고 있다. ▲1단계(2017~2020, 신진연구)에서는 한국인 대상 연구로 비만 및 염증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복부 비만 관련 신규 유전자 변이를 발굴했다. ▲2단계(2019~2024, 보호연구)에서는 한국인 특이 유전자 기반 가중 유전위험점수(GRS)와 내인성 산화스트레스 점수(OSS)를 개발해 비만과 제2형 당뇨병 예측 정확도를 각각 75.1%와 70.5%로 향상시켰다.
또한 이상지질혈증 환자가 하루 17.28g 이상의 식이섬유를 섭취할 경우 건강인과 유사한 대사 패턴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도출해, 미국영양학회 웹사이트에 우수 논문으로 소개됐다. ▲3단계(2024~2029, 우수신진연구)에서는 현재 MZ세대 대상 맞춤형 영양섭취 기준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특화 대사성 질환 예측 및 예방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영양 정책의 핵심적인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오믹스(Omics)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영양 분야에서 확보한 24건의 특허 기술력을 바탕으로 맞춤식품 프로그램 개발 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통해 기술 상용화와 산업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 성과는 기존 해외 의존적인 유전자 분석 기술과 수입 건강기능식품을 국내 기술로 대체해 외화 절감 효과와 더불어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까지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는 더 폭넓은 한국인 및 아시아인 코호트를 대상으로 다중 오믹스 연구를 이어가고, 고감도 오믹스 기술 플랫폼을 도입해 한국인 특화 표준화 예측 도구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우수신진연구, 보호연구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남대 김민주 교수, ‘네빈 S. 스크림쇼 상’수상
기사입력:2025-09-09 15:56: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75,000 | ▼194,000 |
비트코인캐시 | 828,000 | ▼3,500 |
이더리움 | 6,430,000 | ▼7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30 | ▼190 |
리플 | 4,332 | ▼20 |
퀀텀 | 3,626 | ▼1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46,000 | ▼125,000 |
이더리움 | 6,439,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80 | ▼100 |
메탈 | 1,080 | ▼2 |
리스크 | 536 | 0 |
리플 | 4,331 | ▼16 |
에이다 | 1,297 | ▼5 |
스팀 | 192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3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829,500 | 0 |
이더리움 | 6,430,000 | ▼6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90 | ▼160 |
리플 | 4,333 | ▼15 |
퀀텀 | 3,614 | ▼31 |
이오타 | 27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