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정부는 7월 메이슨 국제투자분쟁(이하 ISDS) 중재판정 배상금에 대해 국가의 정당한 과세권을 행사해 약 158억 원을 원천징수한 후 나머지 금액 약 746억 원을 지급했다고 29일 밝혔다.
’18. 9. 美 사모펀드 메이슨이 제기한 ISDS 사건(청구액 약 2억 달러)의 중재판정부는 ’24. 4. 메이슨 측 주장을 일부 인용, 정부에 약 3,200만 달러 및 지연이자 상당의 손해배상을 명했고, 정부가 이에 불복해 싱가포르 법원에 제기(’24. 7.)한 취소소송은 1심 기각(’25. 3.) 및 정부의 항소 미제기(’25. 4.)에 따라 정부의 배상책임이 확정됐다.
이후 정부는 메이슨 측과 배상금 지급을 위한 협상 과정에서 관계부처 간 긴밀한 협의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ISDS 배상금 과세에 관한 원칙과 그 정당성에 대한 근거를 철저히 마련하고, 이를 기초로 메이슨 측과 ‘국가의 정당한 과세권 실현 원칙’에 입각한 끈질긴 협상을 이어나갔다.
그 결과, 정부는 배상금 과세(원천징수) 후 나머지 금액만을 메이슨측에 지급하고 메이슨 측이 제기한 美 법원에서의 집행소송을 취하하는 방안에 대한 협의를 도출, 자칫 국유 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으로 비화될 수 있었던 협상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추가 분쟁의 소지를 차단했다.
설령 메이슨 측이 과세에 불복하더라도 국내법 및 절차에 따라 해결하기로 하는 등 정부의 정당한 과세권을 실현했다고 했다.
정부는 소중한 국민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국내법에 따른 후속조치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정부, 메이슨 국제투자분쟁 배상금에 정당한 과세권 실현
기사입력:2025-07-29 14:32:3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657.28 | ▲95.47 |
코스닥 | 864.72 | ▲16.76 |
코스피200 | 510.55 | ▲13.6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9,520,000 | ▼164,000 |
비트코인캐시 | 796,000 | ▼2,500 |
이더리움 | 6,054,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00 | ▼10 |
리플 | 3,665 | ▼12 |
퀀텀 | 3,029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9,617,000 | ▼163,000 |
이더리움 | 6,065,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00 | ▼50 |
메탈 | 792 | ▼7 |
리스크 | 352 | ▼5 |
리플 | 3,668 | ▼13 |
에이다 | 1,015 | ▼9 |
스팀 | 14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9,66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795,500 | ▼3,500 |
이더리움 | 6,06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10 | ▲70 |
리플 | 3,663 | ▼13 |
퀀텀 | 3,018 | ▼11 |
이오타 | 22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