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유정복 인천시장, ‘부채도시’ 오명···재정개혁 리더십으로 타파

“시민을 위한 미래 재정 실현으로 10년의 성과 조명받다”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복지·기후대응 인프라 투자 적극 반영
기사입력:2025-07-29 09:30:45
유정복 인천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차영환 기자] 인천광역시가 과거 ‘부채도시’ 오명을 벗고 재정건전성을 갖춘 지방정부로 거듭나며 유정복 시장의 재정개혁 리더십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2014년 민선 6기 첫 취임 당시 인천시가 안고 있던 13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도 높은 재정개혁을 선언했다. “시정의 최우선 과제는 재정건전화”라는 기조 아래, 유 시장은 선심성 사업 구조조정, 투자심사 강화,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재정 체질을 근본부터 개선해 나갔다.

그 결과, 2014년 당시 13조 원 수준이던 부채는 민선 6기 말 기준 8조 2천억 원으로 감소했고, 민선 8기 현재는 6조 원대 중반까지 줄어들며 10년간 약 7조 원 이상을 감축했다. 특히 인천시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지자체 중 재정자립도(41.6%)가 두 번째로 높은 도시로 올라섰다.

시 관계자는 “정부 재정지원 없이 자체 역량으로 부채를 줄이고, 투자 여력을 확대한 지방정부는 매우 드물다”며 “이는 단기 성과가 아니라 인내와 구조조정, 혁신이 뒷받침된 장기적 재정 전략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유정복 시장은 “재정이 튼튼해야 도시가 지속 가능하고, 시민의 삶도 안정된다”며 “앞으로도 빚내서 쓰는 재정운영은 단호히 거부하고, 시민세금은 반드시 가치 있는 곳에 쓰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재정 정상화는 단순한 ‘빚 갚기’가 아니라 도시 전반의 대응 능력을 높이는 기초가 됐다. 실제로 인천시는 국제행사 유치(2025 APEC 정상회의 준비), 공공인프라 확충, 미래산업 투자 확대, ESG 정책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격적인 행정을 이어가고 있다.

예산 효율화와 재정 투명성을 높인 인천시는 중앙정부 재정지원사업에서도 우수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비 확보 성과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이제는 채무를 털어낸 재정 자율성을 기반으로 인천의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시기”라며,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복지·기후대응 인프라 투자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시의 지난 10년은 숫자가 아닌 철학의 변화를 보여줬다. ‘빚부터 갚자’는 원칙, ‘시민을 위한 미래 재정’을 실현하는 구조. 인천은 이제 대한민국 대표 도시로 도약할 준비를 마쳤다.

차영환 로이슈 기자 cccdh7689@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9.41 ▼126.03
코스닥 772.79 ▼32.45
코스피200 420.72 ▼17.8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353,000 ▼447,000
비트코인캐시 740,500 ▼7,000
이더리움 4,781,000 ▼78,000
이더리움클래식 26,990 ▼420
리플 3,909 ▼89
퀀텀 2,792 ▼5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431,000 ▼273,000
이더리움 4,783,000 ▼76,000
이더리움클래식 27,020 ▼370
메탈 970 ▼16
리스크 549 ▼11
리플 3,902 ▼99
에이다 974 ▼14
스팀 178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49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740,000 ▼6,500
이더리움 4,784,000 ▼74,000
이더리움클래식 27,070 ▼440
리플 3,907 ▼89
퀀텀 2,785 ▼55
이오타 248 0
ad